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북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재가동과 한국지엠 군산공장의 활용방안이 새해에는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과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직후 대통령과 국무총리 등이 전북을 찾아 군산조선소 재가동, 군산공장 활용방안 등을 마련하겠다는 약속만 했을 뿐 현재까지 뚜렷한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정부가 군산을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한 뒤 내놓은 대책도 재가동, 활용방안과는 거리가 먼 취업·금융지원 등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은 2017년 7월부터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가동을 멈추고, 지난해 6월부터는 한국지엠 군산공장까지 문을 닫았다. 여파로 군산조선소와 군산공장의 협력업체들이 폐업하면서 도내 조선업계와 자동차업계의 생태계는 무너졌다.
이에 전북도는 조선과 자동차에 집중됐던 전북 산업 구조 체질을 바꾸고, 친환경 상용차·재생에너지 등 미래 신산업을 육성하겠다며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 사업 등 여러 사업을 추진하고는 있다. 하지만 이들 사업은 모두 시작단계로, 산업구조의 체질이 개선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재가동 여부는 비교적 희망적이다.
전북도는 군산조선소 재가동 시점을 오는 2020년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53척을 수주하는 등 선박수주 물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올해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되면서 울산조선소에서 모든 수주 물량을 소화하기 어려워 일부 물량이 군산조선소로 배정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전북도는 올해 군산조선소의 시운전과 도내 조선업계의 생태계 재건을 위해 현대중공업 측에 선박블록 물량 배정을 요청하고 있다. 현재 현대중공업은 울산조선소 인근지역에 선박블록 물량을 발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도내 조선업계의 생태계 재건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도내 조선업계 자체적으로 경쟁력 강화와 자구책 마련을 위한 적극성이 요구된다는 의견도 나온다. 또 현대중공업도 조선업계의 형평성 등을 위해 군산을 배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일고 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의 활용방안은 현재까지 나오고 있지 않다.
전북도는 군산공장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SPC(특수목적회사)를 포함해 직간접적으로 3~4개 자동차 관련 업체와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국지엠 군산공장을 활용한 군산형일자리 추진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군산형일자리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유치가 우선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군산공장의 활용방안 마련하겠다고 밝혔지만 8개월이 지나도록 어떠한 활용방안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군산지역을 포함한 전북지역 경제가 하루빨리 안정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 대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