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를 제3금융 중심지로 만들기 위한 전북지역사회의 대승적 협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제3금융 중심지 지정 절차는 이제 올해 10월로 다가온 금융 중심지 지정 신청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도내 시민단체와 정치권의 협력은 구호에만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 중심지 지정평가 기준에서 가장 높은 배점(30점)을 차지하고 있는 인프라 조성은 전북도와 공단의 힘만으로는 실현이 어렵다.
전문인력, 교육환경, 생활수준, 기반시설을 확충해야 하기 때문에 전북도와 도내 지자체는 물론 당파성을 떠난 정치권의 협력이 필요한 것이다.
김성주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3일 전북농협 6층 대회의실서 긴급 기자회견을 연 것도 금융 중심지 지정을 위한 지역사회의 협조를 구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실제 김 이사장은 “제3금융 중심지 지정을 위한 공단과 지자체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전북도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라고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올해부터 시작될 인력양성 계획과 글로벌 금융기관 전주사무소 개소 진행상황도 밝혔다.
김 이사장은 “공단이 추진하는 모든 계획은 국민의 노후자금을 안정적으로 돌려주기 위한 것”이라며 “지역사업의 틀이 아닌 ‘국민의 행복한 노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제3금융 중심지 지정 추진에 적극 힘을 실어야 할 때다”고 역설하기도 했다.
전북도는 국민연금과 관련한 자산운용사 등 수많은 이해당사자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정책 개발과 도내 지자체는 물론 정치권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 과제다.
또한 전북금융타운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현재 예상되는 반발요인도 사전에 점검할 필요가 있다.
전주로 이전을 앞두고 있는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금융업계 종사자들은 복합쇼핑몰 등 편리한 시설이 혁신도시에 생기길 기대하고 있다”며 “생존권을 주장하는 지역 상공업계의 입장을 잘 알지만, 이런 사안마저 제대로 된 합의점이 나오지 않는다면 향후 이보다 더 어려운 사업이나 반대는 어떻게 헤쳐 나갈지 걱정이다”고 말했다.
교육청의 협력도 절실하다. 금융 중심지 지정을 위해 필수로 꼽히는 국제 수준의 교육환경 조성은 교육당국이 해결해야 할 영역이다.
전주가 국제적인 금융 중심지가 되기 위해서는 글로벌 금융인들이 자녀에게 원하는 수준의 교육을 시킬 수 있는 여건이 반드시 형성돼야 한다. 교육 단계별 국제학교 설립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실제 아시아에서 금융 중심지로 지칭되는 도시는 모두 국제적인 교육여건을 갖추고 있다.
기금운용본부 관계자는 “국제적인 금융도시는 모두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다”며 “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서상 받아들이기 힘들 수도 있는 영어특구 조성이나 혁신도시 내 외국어 서비스 지원이 전북시민사회의 지지를 받는다면 금융 중심지 지정과 함께 전북의 국제화를 앞당길 것”이라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