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한 문화·예술 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A 씨는 최근 군산 예술의전당 사용 신청을 위해 전날 저녁부터 밤새 대기했다. 선착순에 따라 우선권이 부여되다보니 원하는 날짜에 공연을 하기 위해선 A 씨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A 씨는 1년 전, 이곳 공연장을 신청하기 위해 새벽 5시에 현장을 찾았다가 20번 안에도 들지 못해 자칫 낭패를 볼 뻔 한 기억이 있다. 이 때문에 이번엔 날 샐 것을 작정하고 고생스럽지만 신청 전날부터 현장을 찾은 것이다.
A 씨는 “매번 앞 번호를 받기 위해 다른 단체와 치열한 경쟁이 이뤄지고 있다”며 “어쩔 수 없이 줄을 서고 있지만 대관 신청을 위해 몇 시간씩 대기한다는 것 자체가 비정상적인 일”이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군산 예술의전당 대관 신청방식이 공연단체나 예술가 등 이용자들에게 큰 불편을 주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
지난 2015년 문을 연 군산예술의전당은 연면적 2만417㎡ 규모에 대공연장 1200석, 소공연장 450석, 전시실 3개소, 편의시설 등 현대적인 문화시설을 갖춘 지역의 대표 문화예술 공간이다. 이곳은 매년 12월 초, 정기 대관 공고를 통해 공연장 및 전시실 등 사용 신청자를 받고 있으며, 1인 3건 이하, 근무시간 내 선착순 접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문제는 예술의전당 대관 신청을 위해 매년 수십 명의 이용자들이 장시간 줄을 서며 대기하는 불편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
접수 당일 오전 7시쯤 예술의전당 문이 열리면 먼저 온 사람 순으로 번호표를 가져다 대관을 신청한다. 사실상 먼저 가서 번호표를 가져가는 사람이 무조건 날짜를 선점하는 식이다. 앞 번호를 받기 위해 텐트·이불 등을 챙겨 들고 밤샘 줄서기 등 한바탕 소동이 벌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군산 예술의전당은 다양한 예술가들이 창의력을 펼치는 공간이라고 소개하고 있지만 현실은 신청뿐만 아니라 공연장 사용도 제한적이라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대부분 지역 예술단체들의 정기공연 등이 하반기에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이 기간에 진포예술제 행사와 군산시립예술단 연습 및 공연, 기획공연 등으로, 실제 민간단체가 사용할 수 있는 날짜는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예술단체 관계자는 “선착순 방식뿐만 아니라 시립예술단 위주로 돌아가는 것도 문제”라며 “이렇다보니 대관 신청기간에 과열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민간 예술단체를 배려하지 않는 일처리 방식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같은 군산 예술의전당 방식은 다른 지자체 공연장과는 현저히 비교된다.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 익산 예술의전당은 대관 신청 시 선착순이 아닌 이메일 또는 방문 접수를 먼저 한 뒤 심의를 통해 공연장를 대관해주고 있다. 이를 통해 무분별한 밤새 줄서기를 막고, 예술성 및 내용 등을 고려해 좀 더 수준 높은 공연을 우선적으로 무대에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군산 예술의전당 관계자는 “선착순 방식이 의도와 달리 불편을 주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며 “문화·예술 단체의 충분한 여론수렴 등을 거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환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