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에서 프로야구를 언제쯤 다시 볼 수 있나요?”
군산 프로야구 경기가 지난 2013년 이후 중단됐지만 지역사회에선 여전히 (프로)야구에 대한 갈망이 높다.
이에 프로야구 활성화 및 지역 야구팬들을 위한 서비스 차원에서라도 군산 프로야구 경기가 재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기아 타이거즈는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군산 월명야구장을 제2의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매년 4~9경기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연고지 팀이 없는 군산과 도내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해왔고, 팬들도 경기장을 가득 메우며 성원에 보답했다.
그러나 지난 2014년 새로 지은 광주 기아 챔피언스필드가 개장하면서 기아 타이거즈는 더 이상 군산에 발을 들이지 않고 있다.
군산시가 예산까지 확보하며 경기 유치 의사를 내비쳤지만 구단 측은 새 구장에 대한 마케팅 및 군산상고 연고제 등을 이유로 번번이 손사래를 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지난 2013년 군산상고가 NC 다이노스의 1차 지명 대상 학교로 결정되면서 군산과 기아 타이거즈의 연이 더 이상 이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기아 타이거즈 구단 관계자는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군산 야구팬들의 열기를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으로선 군산에서 경기를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연고제 등 풀어야 하는 과제들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군산 기아 경기는 이런 문제들이 해결된 이후에나 논의돼야 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군산시는 3년 전, 기아 타이거즈와 협의가 이뤄지지 않자 NC다이노스의 군산 경기를 추진한 바 있지만 이마저도 구단 측의 난색 표명과 무엇보다 지역 정서와도 맞지 않아 결국 성사되지 않은 사례가 있다.
이런 가운데 군산 프로야구 유치에 한국야구위원회(KBO)의 도시연고제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도시연고제란 수도권에 고교 야구부가 많고, 상대적으로 지방은 적다보니 각 구단별로 5개 고교에 대한 지명권을 배정하는 방식이다.
기아 타이거즈는 광주 및 광역 연고인 광주제일고·동성고·진흥고·순천효천고·화순고에 이어 지난 2013년 창단한 인상고에 대한 지명권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군산상고 지명권은 경남의 NC 다이노스가 소유하고 있다.
지역 야구팬들은 지역 정서를 고려하지 않은 도시연고제는 개선, 또는 폐지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군산시야구협회는 향후 도시연고제에 대한 개선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벌일 계획이다.
특히 군산시를 비롯해 전라북도가 KBO를 상대로 도시연고제 개선을 통해 프로야구 군산 경기를 유치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프로야구 관중 수가 전년도에 비해 감소한 상황에서 KBO 역시 야구 활성화와 팬 확보라는 큰 틀에서 도시연고제를 전면 수정하고, 경기를 폭넓게 개최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문태환 군산시야구협회장은 “NC가 군산상고 지명권이 있다고는 하나 여전히 지역에선 전통적으로 과거 해태와 기아 타이거즈 팬들이 많은 게 사실”이라며 “군산에 기아 타이거즈 경기가 다시 열릴 수 있도록 길을 열어달라”고 말했다.
이어 “군산 및 전북 야구 열기는 어느 도시보다 뜨겁다”며 “지역 야구팬을 위해 KBO가 도시연고제에 대해 진지하게 검토해볼 시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