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농대 미래농산업CEO과정 폐쇄…도내 농업인 불만

한농대 평생교육원, 전북도 위탁받아 운영한 미래농산업CEO과정 중단
도의회에서 관련 예산 1억5000만원 전액 삭감한데 따른 영향
전북도, 지역 농업인 육성 취지로 위탁…추경에 다시 수립한다는 계획
한농대, 도비 지원 없이는 운영 불가하다는 입장

국립 한국농수산대학.

전북도가 국립한국농수산대학(이하 한농대)에 위탁·운영한 ‘미래농산업CEO과정’이 중단되면서 도내 농업인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2016년부터 시작된 미래농산업CEO과정은 전북도와 한국농수산대학이 지역 농수산업 발전을 위한 연계사업으로 한농대의 혁신도시 정착을 위해 개설한 프로그램이다. 도와 한농대는 이 과정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교육과 이론교육 중심으로 구성했다. 과정은 농축산물가공전공 25명, 약초자원식물전공 25명 등 총 50명 정원 1년 과정으로 운영해왔다.

도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1억원씩 지원했으며, 올해는 과정을 2개에서 3개로 늘려 총 1억50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었다. 여기에 학생 1인당 연간 50만원을 부담한다.

그러나 올해 도비가 지원되지 않으면서 CEO과정은 별다른 공지도 없이 중단됐다. 지난해 도의회가 2019년 전북도 예산심의 과정에서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한 데 따른 것이다.

관련예산을 문제 예산으로 지적한 박용근 의원(장수)은 “국가기관이 운영하는 과정에 도비가 계속 투입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판단해 예산을 삭감했다”며, “이는 예결위 소속 의원들이 공감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그는 “혁신도시 안착을 위해 한시적으로 지원했던 예산으로 알고 있다. 농림부가 예산을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농대는 도비 지원 없이는 앞으로도 운영이 힘들다는 입장이다.

졸업생과 입학희망자들은 이 같은 일방적인 중단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은 혁신도시 이전기관의 지역상생 노력과 농업정책을 강조하는 도정기조에도 어긋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한농대가 미래농산업CEO과정을 대학의 성과처럼 적극 홍보해놓고, 도비 지원 중단을 이유로 과정을 운영하지 않는 것은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영농인 김모씨(63·전주)는 “전북지역 농민들에게 직접적으로 지원되는 예산에 도비가 투입되는게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의견에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농대 관계자는 “운영예산이 없어 2019년도 과정은 폐쇄할 수밖에 없었다”며 “예산이 부활되면 내년도부터는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오는 4월 추경 예산에 미래농산업CEO과정 예산을 다시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한농대는 경기도에서도 지역 농업인을 대상으로 ‘최고농업경영자과정’을 운영했는데, 경기도비와 학생 자부담으로 운영비를 충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