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2의 지역상생형 일자리(일명 ‘광주형 일자리’) 후보지로 군산이 유력한 것으로 분석돼 귀추가 주목된다.
청와대 정태호 일자리 수석비서관은 이달 8일 청와대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광주형 일자리 의미와 향후 계획을 설명하면서 “정부도 광주형 일자리가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면서 군산을 제2의 후보지 중 하나로 지목했다.
정 수석은 “제가 직접 만나본 지역은 두 군데가 있다”며, 군산을 비롯해 구미·대구 등 3곳을 소개했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이날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청와대 정 수석과는 지난해 연말부터 (군산형 일자리 문제를 놓고) 만났으며,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말해, 정 수석이 직접 만난 단체장이 군산시장임이 확인됐다.
이어 정 수석은 “시장님들이 아주 구체적으로 계획들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면서 “상반기에는 최소한 두 군데는 급물살을 탈 수도 있겠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는 지역상생형 일자리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킬 의지가 강한 것으로 파악되면서 군산형 일자리 논의는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이달 8일 전국 시장·군수·구청장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도 “어느 지역이든 노사민정의 합의로 광주형 일자리 같은 사업을 추진하면, 성공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며 “특히 주력 산업 구조조정으로 지역 경제와 일자리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일수록 적극적으로 활용해달라”고 주문했다.
문제는 어떤 산업을 해당 지역 일자리 모델로 선택할 지가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치단체와 기업의 요구가 서로 달라 접점을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노·민·정(勞民政)’선언 후 이를 바탕으로 여러 기업들을 방문해 제안을 했으며, 이중 현대차가 나서게 되면서부터 공식 협상이 진행됐다.
강 군산시장도 “지역내에서는 ‘노·사·민·정(勞·社·民·政)’ 가운데 ‘노·민·정’은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됐다. 그러나 아직 기업(산업)을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며 고민의 일단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자치단체장들은 첨단 산업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정 수석은 “산업적인 부분은 그 지역의 미래 경제적 비전과 연결되는 사안”이라며 “자치단체장들은 주로 첨단, 미래형 산업쪽으로 관심들을 많이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지역과 기업 간의 연고가 있어야 자연스럽게 진행될 수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그간 접촉해 온 자치단체의 요구와 기업 현실간에 간극이 있었던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군산시의 경우 한때 반도체 산업이 모델로 제안돼 추진됐으나, 관련 기업이 한꺼번에 수천 명에 달하는 인력 확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부정적 의견을 제시하면서 무산됐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 수석은 “결국 어떤 산업을 선택할지는 지자체에서 결정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현재로선 군산과 연관성이 있는 조선과 자동차 분야가 군산형 일자리 모델이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