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인건비 부담과 경영악화 등으로 생산 활동이 위축되면서 외국인력조차 고용하지 않으려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올해 1분기 외국인 근로자를 신청하지 않은 중소 제조업체 1천178개사를 대상으로 ‘외국인력(E-9) 고용 동향’을 설문한 결과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올해 1분기 외국인 근로자 배정 신청 시 미달이 발생한 원인과 중소 제조업체의 고용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12∼13일 이뤄졌다.
중기중앙회는 지난달 중소기업을 상대로 외국인 근로자 배정 신청을 받은 결과,전체 배정 인원 9천996명 중 9천842명이 신청해 154명이 미달했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 기업들은 외국인력을 신청하지 않은 이유로 인건비 부담(34.0%), 경기 부진·경영악화(31.2%) 등을 주로 들었다.
이어 업체 할당량 소진(10.2%), 자격요건 미충족(4.1%), 외국인 근로자에 불만(3.8%), 기타(16.8%) 등 순이었다.
특히 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인건비 부담과 경기 부진을 고용 축소의 원인으로 답한 비율이 높았다. 영세 기업이 인건비 부담과 경기 악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은것으로 분석됐다.
내·외국인을 포함해 올해 전체 고용계획에 대한 질문에는 36.5%만이 충원계획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중소 제조업체의 연중 생산과 고용 여건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인원을 유지할 것이란 대답은 49.5%, 감원 예정은 14.0%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액은 최저임금 인상에도 작년보다 23만9천원이 감소한 231만5만원으로 집계됐다.
중기중앙회는 인건비 부담과 경기불황에 따른 생산 감소로 잔업 수당 등 지급액이 줄어 급여액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