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집적 환경구축·정주여건 개선 이뤄져야"

금융위 제3금융중심지 지정관련 용역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기관 입주여건·정주환경 보완 등 거론된 것으로 알려져
전북도, 금융위원장 등 만나 전북 제3금융중심지 지정 협조 요청 방침

제3금융중심지 관련 용역에서 전북혁신도시에 금융기관을 집적할 수 있는 환경구축과 정주여건 개선 문제가 보완요소로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언론은 제3금융중심지 지정 타당성에 문제가 된 것으로 보도했지만, 도와 국민연금은 용역내용이 ‘보완과 개선’에 방점이 찍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제3금융중심지 프로젝트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담겨 있는 국책과제다. 서울과 부산에 이어 전북혁신도시를 제3금융중심지로 육성해 국가균형발전과 금융산업의 효율적 육성을 이루겠다는 것이 취지다.

용역목적도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막기 위한 것이 아닌 가능성과 보완요소를 조명함으로써 효율적인 금융도시를 육성하기 위해서다.

실제 용역보고서에는 금융 인력들이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과제가 담긴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전북혁신도시가 보완해야 할 요소는 크게 7가지로 정리됐을 가능성이 크다.

용역보고서는 영국 컨설팅그룹 ‘지옌’이 발표하는 국제금융센터지수(GFCI: Global Financial Center Index)의 평가요소와 비슷할 소지가 높다. 국제 금융허브의 주요 평가요소는 기업 환경과 금융부문 발전, 기반시설, 인적자원, 평판 및 일반요소 등 5가지다.

전북혁신도시는 영어사용 환경과 국제교육 특구와 같은 교육여건, 교통 접근성 등을 보강할 필요성이 제기됐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자산운용 특화와 같은 명확한 ‘금융허브 정책’과 외국금융인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홍보·마케팅’강화도 필요하다.

김성주 국민연금 이사장이 최근 수소전기버스 도입과 대중교통 특구조성을 통한 정주여건 개선을 강조한 것도 용역에 적극 대비하자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실제 기금운용본부를 찾는 국내 및 해외 투자자들은 전주 또는 익산역에서 혁신도시로 이동하는 데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A급 빌딩 확충 등 오피스적 요소와 쇼핑시설과 고급호텔 신설도 요구사항에 있을 것이란 전언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제3금융중심지 용역에 대한 이야기가 업계에서 떠돌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인프라 개선을 위한 보완점이 거론돼 향후 전북혁신도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25일 ‘전북혁신도시를 제3금융중심지로 육성하기에는 미흡하다고 1차 판단이 내려졌다’는 일부 언론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