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완주군 새마을회(회장 임필환)와 완주문화원(원장 김상곤)이 삼례시장에서 ‘3·1 운동 100주년 기념행사’를 연다.
완주군 관계자는 “한국민족대백과사전에 ‘1919년 3월 24일 삼례면(參禮面) 삼례리 삼례장에서 수백 명의 군중이 만세 운동을 전개했다’는 내용이 있다”며 “당시 군중들은 만세운동과 함께 삼례역을 탈환하려고 시도한 것으로 전해진다”고 말했다. 당시 일제는 삼례역을 개통, 만경평야 등 일대에서 생산되는 양곡을 철도를 이용해 삼례를 거쳐 군산으로 옮기고 일본으로 반출, 국민적 원성을 샀다.
완주군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해 그동안 완주군민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삼례시장 만세운동과 삼례역 탈환시도 등 완주지역 3·1운동의 역사를 적극 알리기로 했다.
이날 3·1절 행사에는 박성일 완주군수, 안호영 국회의원, 최등원 완주군의회 의장, 장영달 우석대총장을 비롯해 지역 내 기관, 보훈, 사회단체, 독립유공자, 학생, 주민 등 각계각층의 인원들이 대거 참여한다.
기념식에 이어 행사에 참여한 군중들이 제각각 손에 든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100년 전 3·1만세운동을 재현한다. 만세운동 당시 일본경찰과 군중들과의 충돌 퍼포먼스, 일본군의 탄압을 이겨낸 만세운동 군중들의 환희 퍼포먼스도 펼쳐진다.
완주군 관계자는 “기념식이 열리는 삼례시장 사거리 및 만세운동 주요 도로변에 태극기와 현수막을 게양하고 ‘삼례시장~삼례책마을’ 만세운동거리에 태극 물결을 조성한다.”며 “각 읍·면에서도 태극기 달기 운동으로 선열들의 위업을 기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