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제3금융중심지 전략적 대응 ‘시급’

효율·집중적인 금융중심지 정책 위해 TF나 추진단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
금융업계와 국민연금, 전북도에 담당인원 증원 및 조직 확대 요구
금융 인프라 조성의지·계획 등 전북도·전주시의 구체적 비전제시도 필요

제3금융중심지 지정 절차의 ‘골든타임’이 다가오면서 전북도의 전담조직 확대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2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중심지 추진위원회 관계자와 금융위원회, 국내외 투자금융업계는 제3금융중심지 추가지정과 관련, 전북도의 의지를 담은 조직편성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전북도와 협력하고 있는 국민연금공단과 금융 전문가들은 도에 담당인원 증원 및 조직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안으로 제3금융중심지 지정 절차가 사실상 마무리되는 만큼 도지사나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TF나 추진단을 꾸려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달 현재 전북도가 중심과제 수행을 위해 운영하는 한시조직은 새만금추진지원단과 대도약기획단, 잼버리추진단 등이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추진위원들과 금융 전문가들은 전주에 당장 수도권에 준하는 인프라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며, “전북도와 국민연금이 갖고 있는 계획과 비전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현 방안을 제시하길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소는 인프라 조성과 지원을 담당할 조직의 규모다. 부서의 형태와 인력 보강이 전제돼야 전주를 금융 허브로 만드는 데 추진력을 받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영국의 컨설팅그룹 ‘지옌’이 실시하는 국제금융센터지수평가 항목에는 정부나 지방정부의 지원시스템이 포함돼있다. 2009년에 금융중심지로 지정받은 부산광역시의 경우 초반 전담조직 확대전략으로 2015년 국제금융센터지수평가에서 전 세계 금융도시 중 ‘27위’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전담조직이 축소된 이후 2018년 3월에는 49위로 하락했다.

부산은 금융 업무 전담부서를 상시조직으로 만들었으며, 부산국제금융도시추진센터 건립 후 민간전문가를 대거 기용했다. 이들 조직은 지정 이후 조직이 축소되거나 개편돼 운영되고 있다.

전북도와 전주시가 금융 인프라 조성의지와 향후 계획을 금융관련 기관과 기업에 구체적인 로드맵 형태로 제시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익명을 요구한 투자금융업계 전문가 A씨는 “금융중심지 추가지정이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되는 만큼 이제는 국제교육특구나 A급 빌딩 신설계획 및 디자인, 교통 인프라 구축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내세울 필요성이 커졌다”며 “지자체가 가장 빠르게 보여줄 수 있는 결과물이 추진단과 같은 전담조직이나 금융도시추진센터와 같은 기관을 신설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