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주택대출 분할상환 비중 50% 돌파…DTI는 30% 하회

지난해를 기점으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중 분할상환 방식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자의 현금 흐름을 살피는 총부채상환비율(DTI)은 2년째 30%를 하회한 것으로 집계됐다.

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부채의 질 측면에서 이런 변화가 포착됐다.

먼저 은행 주택담보대출 중 비거치 분할상환 대출 방식이 지난해말 기준 51.6%를 기록했다.

비거치 분할상환 대출 방식이 은행권 주택대출의 50%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금융당국이 만기일시상환 방식의 대출을 지양하고 비거치 분할상환 대출을 권장하면서 분할상환 대출 비중은 2010년 6.4%에서 2011년 7.7%, 2012년 13.9%, 2013년 18.7%, 2014년 26.5%, 2015년 38.9%, 2016년 45.1%, 2017년 49.8% 등으로 지속적인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50% 비중을 넘어섰다는 것은 분할상환 방식이 만기일시상환 방식을 넘어 대세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전체 대출에서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졌다. 지난해말 은행권의 주택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은 45.0%로 역시 역대 최고치다.

2017년말과 비교해보면 0.5%포인트 오른 수치다. 다만 최근 전반적인 흐름과 비교했을 때 상승곡선은 다소 완만해졌다. 변동금리가 고정금리에 비해 유리한 국면이었던 데다 사실상 변동금리 상품인 전세자금대출이 급증한 여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