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에 산하기관·조직 이전 추진 ‘시급’

LX 국토정보교육원, 국민연금공단 장애심사센터 등
공공기관 추가이전 앞서 기존 이전기관 일부부서 전북으로 이전 안 해

전북혁신도시 전경. 전북일보 자료사진

본격적인 ‘혁신도시 시즌2’를 앞두고 여전히 타 지역에 남아있는 일부 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조직의 이전이 마무리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혁신도시 이전기관의 일부 조직이 이전하지 않고 있는 데 대한 전북도 차원의 대책 마련도 요구된다.

전북혁신도시에는 농촌진흥청과 그 산하기관, 한국국토정보공사(LX), 국민연금공단,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농수산대학 등이 이전해 있다.

그러나 LX 국토정보교육원, 국민연금공단 장애심사센터, 한국출판산업진흥원 콘텐츠 지원팀과 출판산업지원센터 등이 서울 등 예전 소재지에 그대로 잔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4조2항과 29조1항은 모든 기관의 이전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2사옥을 짓고 서울에 잔류한 1294명을 올해 말까지 원주혁신도시로 이전시키려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전북혁신도시 기관들은 업무특성을 등을 이유로 이전을 보류하거나 잔류시켰다는 입장이지만 내부 반응은 다르다. 업무 특성상 전북에서도 충분히 기능수행에 전혀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경기도 용인에 있는 LX 국토정보교육원은 국내 유일의 국토정보 전문 교육훈련기관으로, 근무하는 직원만 30 여명이 넘는다. LX는 전북에 국토정보 및 지적측량 전문교육기관이나 과가 개설되지 않았다고 하소연하면서도 정작 자신들의 교육기능은 수도권에 남겨뒀다. 다른 부설교육기관인 공간정보아카데미 또한 서울에 있다.

반면 한국전기안전공사의 교육기관인 전기안전교육원은 충남 아산에서 2021년까지 정읍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국민연금공단은 국제협력센터와 장애인심사센터가 서울에 남아있다. 국제협력센터는 기능상 서울업무가 효율적이다 하더라도 장애인심사센터의 경우 신사옥 건립에 맞춰 전주로 이전시켜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5개의 부서로 이뤄진 공단 장애인심사센터에는 올해 기준 160여 명이 넘는 직원이 근무하고 있어 지역인재할당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20명 정도의 직원이 서울에서 근무하고 있다. 수도권에 잔류한 콘텐츠 지원팀은 정부가 인정하는 양서인 ‘세종도서’의 접수 및 선정 업무를 맡고 있으며, 출판산업지원센터는 출판전문 인력 양성과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부서다.

익명을 요구한 혁신도시 이전기관의 한 간부는 “잔류한 조직이 전북으로 이전한 다른 부서에 비해 강한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긴 힘들다”며 “이들이 혁신도시 시즌2에 맞춰 전북으로 이전하지 않는다면 공공기관 추가이전 동력이 약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