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지역 버려진 유휴시설, 창업공간으로 변신한다

도, ‘전북형, 햇살가득 농촌 재생 프로젝트’ 추진
빈집과 양조장·방앗간 등 폐 산업시설, 지역특산품 판매장·청년 창업공간 탈바꿈
도, 75억 원 투입…5월까지 3곳 선정, 시범 추진 예정

도내 농어촌지역의 빈집과 방치된 방앗간, 양조장 등 폐시설이 지역특산품 판매장이나 청년 창업공간 등으로 탈바꿈될 전망이다.

전북도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전북형, 햇살가득 농촌 재생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전국에서 처음 시행하는 사업이며, 농어촌지역에 흉물로 버려진 유휴시설을 재생해 사라진 지역특산품(막걸리·한과·빵 등)을 장인정신과 함께 되살리고, 청년 창업공간과 주민공동이용시설로 활용, 주민들의 소득증대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는 올해 총 75억 원을 투입하며, 오는 5월까지 시·군 공모를 통해 3곳을 선정해 시범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주민과 마을만들기 중간조직·지역활동가·사회적기업·마을기업·청년창업가 등 전문기획가가 공동으로 참여해 사업을 발굴하고 사업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도는 농촌재생 전문가, 시·군 담당자, 전문기획가 등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사업의 기획·시공·운영을 총괄하는 중간관리자를 공모신청서에 지정하도록 했으며, 사업완료시까지 주민과 전문기획가가 법인 또는 협동조합을 설립해 안정적으로 시설물을 운영·관리하도록 했다.

이용민 전북도 건설교통국장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의 폐 산업시설과 역사·문화 유휴시설을 농어촌지역의 특화브랜드로 복원·재생해 농촌다움을 회복하고, 특산물·관광·축제 등과 연계한 새로운 주민 소득증대와 공동체 기능을 회복해 농촌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