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김제·완주지역 등 전주권 레미콘업체들이 원재료값 상승 등으로 적자운영 위기에 직면해 건설업체들에게 단가 인상을 요구하면서 가격 인상을 놓고 합의점 찾기에 진통을 겪고 있다.
전라북도레미콘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전주·김제·완주지역 레미콘업체는 총 17개 업체로 각 업체별로 레미콘을 공급하는 건설업체들과 개별적으로 단가 인상을 협의 중이다.
지난해 10월 시멘트 값이 톤당 7000원 이상 오르면서 지역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경영난이 가중돼 지난달초 단가 인상을 건설업체들에게 요청했지만 합의점을 찾는데 서로간 입장이 엇갈리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일부 전주권 레미콘업체들은 이달 초부터 단가 인상 요구에 반발하는 일부 건설현장에 레미콘 납품을 중단하는 등 가격 인상을 놓고 반목하고 있다.
레미콘업체들은 평균 ㎥당 5만8800원이던 기존 단가를 3월부터 15%가량 인상된 6만7400원으로 올려 줄 것을 지난달 요구했다고 알려졌다.
골재, 시멘트 등 원재료값 상승과 믹서트럭 운송사업자의 격주 토요일 근무제 등에 따른 운송비 인상이 이유다.
레미콘업체의 A대표는 “골재값이 급등하고 운송비 부담까지 가중돼 적자운영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레미콘 단가 인상은 불가피한 일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건설업체들은 이에 반발하고 있다.
레미콘업체들의 어려운 입장은 알지만 당초 예상했던 건설비가 늘어나는 것에 따른 부담감이 크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수익에 대한 레미콘업체들과 건설업체들의 이해관계가 상충하면서 서로간의 합의점 찾기가 빠른 시일내 결론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업체의 한 관계자는 “일부 건설업체들은 공기 지연 등의 우려로 어쩔 수 없이 인상된 가격을 수용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서로간의 입장을 조율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