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지역 조합장 선거 비방으로 '얼룩'

폭로, 비방 제보나 수사의뢰 등 네거티브 속출
조합원·후보도 답답, 깜깜이 선거 후유증 개선 시급

전국동시조합장 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각종 폭로와 비방이 잇따라 선거 이후 후유증이 우려된다.

특히 후보 당사자만 선거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세에 몰린 도전자들은 조합원들을 동원해 현 조합장에 대한 폭로나 비방을 하는 우회적 선거운동이 등장하는 등 미비한 선거규정에 대한 정비도 요구된다.

익산지역 15개 농수축협과 산림조합 선거가 막바지에 이르면서 각종 폭로와 비방이 잇따르고 있다.

일부 조합에선 조합원을 동원한 내부 비리를 담은 폭로문건과 비방을 담은 언론제보가 연일 계속되고 있는 것은 물론 일부 조합원은 직접 검찰이나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앞서, 익산의 A조합에선 20억원에 거래된 건물을 사흘 만에 33억5000만원을 주고 매입했다는 폭로가 터져 나와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B조합은 수천만원의 뇌물을 건네받은 직원이 감정평가금액을 부풀려 대출을 해줬고, 이 과정에서 조합은 수십억원의 손실을 봤다는 부실 운영의 책임을 묻는 내용을 검찰에 고발했다.

이런 내용을 일부 언론이나 입소문을 통해 확산시키는 네거티브 형태의 선거운동이 성행하고 있다.

그러나 확인결과 A조합과 B조합에서 제기된 내용은 모두 2년 전의 일이고, 일부 내용은 자체 감사를 통해 이미 수사의뢰가 되었는데도 최근 터져 나온 것처럼 흠집내기식 선거운동이 펼쳐지고 있다.

특히 이미 수사나 조사를 통해 무혐의 처분을 받은 사건을 다시 확산시키는 등 네거티브 선거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

후보는 물론 투표권을 가진 조합원도 답답한 이런 선거 분위기는 규정이 너무 강화된데서 비롯됐다는 지적이다. 조합장 선거는 후보 본인 이외에는 선거운동을 할 수 없고, 가가호호 방문도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선거운동은 조합원에게 우편으로 발송되는 선거홍보물이 유일하다.

적극적인 선거운동을 펼칠 수 없는 규정에 막혀 현 조합장들은 일일이 사실이 아니라고 해명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본인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적은 깜깜이 선거는 특정 후보를 지원하는 일부 조합원을 활용한 흠집내기식의 선거운동으로 변질되면서 건전한 선거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조합장 선거에 출마한 한 후보는 “선거운동이 시작되었지만 조합원들에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적다”면서 “결국 나를 알리기보다 상대를 흠집내는 선거운동이 성행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