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금융타운 조성이 탄력을 받기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의 폭 넓은 참여와 조직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북의 경우 제3금융중심지 지정과 전북금융타운 조성에 있어 이렇다 할 협력지원 체계가 보이지 않고 있다. 민자 유치가 한 차례 무산됐음에도 ‘전북도 일자리경제국 투자금융과’와 ‘국민연금공단 미래혁신기획단’만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다.
반면 부산은 지난 10년 간 글로벌 금융사를 단 한 개도 이전시키지 못했다는 위기감을 바탕으로 지자체와 정치권은 물론 지역은행까지 나서 호흡을 맞춰나가고 있다.
조직개편은 사안의 시급성을 감안해 송하진 전북도지사와 김성주 국민연금이사장, 김한 JB금융그룹 회장이 공동단장으로 참여하는 TF(태스크 포스·특별기획팀)팀의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전북금융타운 조성은 도의 특정부서가 타운 조성과 지원 후속대책까지 모든 것을 담당하다 보니 전문성과 집중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다.
이 때문에 부동산 개발정책이 포함된 전북금융타운 조성에는 도 건설교통국과 전북개발공사, LH전북본부 등 부동산개발 전문 조직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게 민간 사업자들이 내놓은 공통된 분석이다.
그러나 이달 중으로 금융타운 조성 방향이 결정돼야하기 때문에 당장 조직개편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책임성을 갖춘 민관협의체를 통해 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여지는 남아있다.
금융타운 조성을 통한 금융허브 도약은 금융부문은 물론 비즈니스 환경, 산업구조, 인적 재원, 부동산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수반된 종합행정 서비스가 이뤄져야한다.
금융 중심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금융기관 집적만으로는 안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많은 금융도시를 경험해봤다는 기금운용본부의 한 관계자는 “금융도시는 외형과 내형이 모두 자본시장에 특화돼야한다”며 “부산은 하드웨어는 갖춰졌으나 소프트웨어가 없고, 전주는 소프트웨어는 갖춰지고 있으나 하드웨어가 없는 사례다”고 지적했다.
전북은행의 참여를 도출하는 것도 시급한 사안으로 거론된다.
실제 BNK금융그룹은 올해 초 국내 은행에서는 처음으로 해양금융부를 신설하고 해양종합금융 전문 금융기관 기치를 내걸었다. 해양금융중심지라는 부산시의 금융도시 정책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다.
반면 JB금융그룹에서는 이렇다 할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고 있다.
부동산 개발업계 관계자는 “금융타운 공모사업은 금융정책이라기 보단 부동산투자개발 사업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개발은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흔히 말하듯 종합예술과도 같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필요하다”며 “특히 금융타운과 같은 대규모 사업에는 부동사 시행사 및 시공사, 투자가, 자본을 대줄 금융사와 함께 행정적 지원 등 여러 부문의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이 함께 결합돼야 실현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