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보다 1억3000여만 원이 늘어난 20억1600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8일 공개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 내역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재산은 지난해엔 18억8000만 원이었으나, 이번 정기재산신고에서는 예금이 1억6000만 원 늘어나는 등 전체적으로 1억3600만 원이 증가했다.
문 대통령은 예금이 증가한 이유를 ‘급여 등 수입 및 생활비 등 지출로 인한 변동’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경남 양산의 대지와 제주 한경면의 임야 등 2억 원가량의 토지와 본인 소유의 양산 사저, 모친 강한옥 여사 소유의 부산 영도구 소재 아파트 등 4억7800만 원가량의 건물을 함께 신고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의 다주택 보유 억제 정책에 따라 2017년 12월 대통령 당선 직전까지 거주하던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자택을 김재준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실 행정관에게 매각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본인 소유의 2010년식 쏘렌토R 차량과 김정숙 여사 소유의 2013년식 스포티지R 차량과 함께 9건의 저작재산권도 신고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을 포함해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참모진 47명의 평균 재산은 14억9400만 원이었다.
김수현 정책실장은 지난해보다 9900만 원이 증가한 14억3400만 원을 신고했다. 올 1월 임명된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등은 이번 재산공개에서 빠졌다.
김 실장은 경기도 과천에 소유한 본인 명의 아파트 가액이 7000만 원가량 증가했고, 월급 저축 및 이자 수입 등으로 예금도 2000만 원가량 늘었다. 또 현재 본인이 소유한 아파트 한 채와는 별도로 또 다른 아파트의 전세권을 신고했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지난해보다 1억200만 원이 늘어난 18억8600만 원을 신고했다.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보유 중인 연립주택의 가액이 6000만 원가량 늘었고, 배우자 명의로 2600만 원 상당의 조선호텔 헬스 회원권이 재산에 추가됐다.
이번 재산신고에서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난 청와대 참모는 148억6900만 원을 신고한 주현 중소벤처비서관이다.
주 비서관은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강남구 개포동의 한 아파트를 보유한 가운데 본인 명의로 된 세종시의 아파트도 신고했다. 주 비서관은 장모가 배우자에게 증여한 강남구 신사동의 한 건물을 비롯해 마포구의 오피스텔과 어머니·차남 명의의 용산구 소재 아파트까지 더해 77억1900만 원 상당의 건물을 신고했다. 예금은 총 52억1900만 원이었다.
주 비서관 다음으로 많은 재산을 보유한 참모는 지난해보다 1억4800만 원이 늘어난 54억7600만 원의 재산을 신고한 조국 민정수석이다.
그 다음은 윤종원 경제수석(24억7600만 원), 유민영 홍보기획비서관(20억6000만원), 신지연 제2부속비서관(20억4800만 원) 순이었다.
가장 재산이 적은 참모는 1억3200만 원을 신고한 김혜애 기후환경비서관이었다.
김 비서관은 지난해 8700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으나, 서울 광진구 능동 아파트가액이 1300만 원가량 올랐고 예금도 2000만 원가량 늘면서 1억원 대로 재산이 증가했다.
최혁진 사회적경제비서관(1억5600만 원)은 김 비서관과 함께 1억원 대 재산을 신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