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출신 조동호(부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이 철회됐다. 또 최정호(익산)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자진사퇴하는 등 2명의 전북출신 장관 후보가 국회 인사검증 과정에서 낙마했다.
청와대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31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조동호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했다”며 “인사 청문회 과정에서 후보자의 자격이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논의 끝에 후보 지명을 철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조 후보자의) 해외 부실 학회 참석 사실이 사전에 확인됐다면 후보 대상에서 제외됐을 것”이라며 “다른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후보 지명을 철회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조 후보자는 외유성 출장 의혹 및 아들의 호화 유학 의혹과 함께 지난 2017년 12월 ‘해적 학술단체’로 꼽히는 인도계 단체 ‘오믹스’(OMICS International)와 관련된 학회에 참석한 정황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논란이 됐다.
윤 수석은 “조 후보자에게 부실학회에 참석했는지를 질문했으나, 후보자는 참석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후보자로 지명되면 서약서를 작성하는데, 사실과 다른 답변을 하면 관련 내용을 공표할 수 있게 돼 있다”며 “이런 기준 등을 고려해 (자진사퇴가 아닌) 지명철회 절차를 밟은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최 후보자는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고, 최 후보자의 입장과 청문회에서 제기된 부동산 관련 문제 등을 무겁게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전했다.
최 후보자는 이날 국토부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국토부 장관 후보자에서 사퇴한다. 성원해주신 모든 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라는 짧은 사퇴의 변을 남겼다.
최 후보자는 한때 경기도 분당과 서울 강남에 아파트 한 채씩을 보유하고, 세종시에 아파트 분양권을 소지하는 등 사실상 3주택자였던 전력으로 논란을 불렀다.
윤 수석은 “(이들 후보자는) 해외 부실 학회 참석 사실을 제외하고는 청문회 과정에서 지적된 흠결은 청와대 인사 검증 과정에서 확인됐다”면서 “그럼에도 조 후보자는 5G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최 후보자는 해당 분야의 자질을 높이 평가해 장관으로 기용하려 했다”고 말했다.
윤 수석은 “이번 장관 후보자 인선에도 7대 배제 기준을 적용하고 준수했지만 국민의 눈높이를 맞추는 데 미흡했다”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청와대가 적용하고 있는 7대 배제 기준은 병역기피·세금탈루·불법적 재산증식·위장전입·연구 부정행위·음주운전·성 관련 범죄다.
이와 함께 윤 수석은 ‘야당에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나 김연철 통일부 장관 후보자 등도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추가적인 조치나 입장은 없나’라는 질문엔 “현재로서는 없다고 보는 게 맞을 것 같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