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가 공석인 본부장 채용을 미루면서 그 배경에 궁금증이 높아가고 있다.
특히 그동안 지원센터의 이사장은 농식품부 퇴직 공무원이나 정치권 인사가 낙하산으로 채용되어 오면서 본부장은 지역과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 인물이 채용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3일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에 따르면 지난 1월 말로 임기가 끝난 사업본부장의 후임 채용계획을 아직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이미 공공기관이 된 지원센터의 사업본부장은 서기관급으로 연봉이 7000만원에서 최고 1억원에 이른다.
그동안 지원센터의 이사장은 농식품부 1급으로 퇴직한 공무원이나 정치권 인사가 낙하산으로 채용되어 왔고, 본부장은 농식품부 산하 국립농식품품질관리원에서 4급 이상으로 퇴직한 지원장급이 임명되어 왔다. 실제, 임기 2년의 본부장은 1대에서 3대까지 모두 농식품부나 농식품부 산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등에서 4급 이상 간부로 퇴직한 공무원이 채용됐다.
지원센터를 총괄하는 이사장은 정부와 국회 등과 교류를 위해 고위직을 지낸 우수한 인물이 임명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설득력이 실리지만, 내부 업무를 총괄하며 지역과 활발한 교류에 나서야 할 본부장까지 농식품부 산하 기관에서 낙하산으로 채용되는 것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린다. 특히 지역과 연고 없는 경영진이 지속적으로 임명되면서 임기만 채우는 퇴직 공무원의 자리라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이처럼 지원센터의 책임자가 농식품부 고위 퇴직 공무원의 거쳐가는 자리로 계속 이어지면서 사실상 전북도나 익산시는 지금까지 운영비만 퍼줬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익산시의회 최종오 의원은 “임명권을 가진 농식품부가 이사장은 중앙에서 활동한 인물을, 본부장은 지역과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인물을 발탁해야 한다”며 “중앙 낙하산이 계속되는 악순환은 끊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 관계자는 “지난 2월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후 채용기준이 강화돼 지연됐다”며 “조만간 공모를 통해 채용에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