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스마트축산’ 모델 개발로 빅데이터 기반의 정밀 축산 구현에 주력한 결과, 농가 편의성과 생산성 향상 효과를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스마트축산 모델’은 통합제어기로 각 ICT 장치의 데이터를 통합,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사양·축사 환경·건강 관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지금까지 개발한 스마트축산 모델을 농장에 설치하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 편의성뿐 아니라 생산성 향상도 확인됐다.
한우 스마트축산 모델 농장의 경우 노동력이 줄었지만 사육 마릿수가 120마리에서 150마리로 30마리 늘었으며, 개체별 정밀 사양 관리로 암소의 평균 공태일(비임신 기간)이 60일에서 45일로 15일 줄고, 송아지 폐사율도 10%에서 절반으로 낮아졌다.
젖소 스마트축산 모델 농장은 정밀 개체 관리로 한 마리당 40kg이던 하루 평균 착유량이 43kg으로 늘고, 5%였던 평균 도태율도 1.5%로 낮아졌다.
돼지 스마트축산 모델 농장에서는 어미돼지 한 마리당 젖을 뗀 새끼돼지(이유두수, PSY)가 연간 18.7마리에서 25.7마리로 37.4% 늘었으며, 어미돼지 한 마리당 연간 출하마릿수(MSY)도 23.7마리로 33.1% 늘었고, 사료요구율은 3.5kg에서 3.12kg으로 10.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양창범 원장은 “앞으로 구축된 통합시스템을 기반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로 가축 생애주기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스마트축산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