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상권을 살리고 지역 자금의 역외유출을 막기 위해 발권한 지역사랑상품권이 지역경제를 살리는데 한 몫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저렴하게 구매해 어디서나 편하게 쇼핑할 수 있고, 소상공인은 카드수수료와 환전수수료 없는 현금과 같은 효과가 있어 소비자와 소상공인 모두에게 이득이 된다는 것이다.
8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11개 시·군에서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거나 발행을 준비 중에 있다. 도내 지역사랑상품권의 발행 규모는 4203억 원으로, 전국 발행 규모(2조 원)의 20%를 넘는다.
현재 군산·남원·김제·완주·장수·임실지역은 수년전부터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 빠른 속도로 판매되고 있으며, 진안·무주·순창·고창·부안지역은 올 하반기 발행을 위해 준비 중에 있다.
발행규모는 군산시 4000억 원, 고창군 59억 원, 완주군 30억 원이며, 나머지 지역은 10~20억 원 내외다.
지역사랑상품권은 전통시장에서만 사용 가능한 온누리상품권과는 달리 발행지역 내 대규모 점포 등을 제외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소비자는 보다 저렴하게 구입해 사용할 수 있는 큰 혜택이 있다.
군산, 진안, 무주와 완주(명절)는 10%, 그 외 지역은 5%로 상시 할인을 하고 있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60% 이상 사용하면 현금으로 되돌려 받을 수 있어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이와 함께 상품권 발행 활성화를 위해 전입장려금, 출산장려금, 사회복지사 복지수당, 각종 바우처를 상품권으로 지급하는 등 시·군별 여건에 맞는 다양한 활성화 시책도 추진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지역사랑상품권은 소비자와 소상공인도 모두 이득이 되는 지역경제 살리는 일등공신이 될 것”이라며 “이름값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지역사랑상품권 활성화에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