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당 ‘공동교섭단체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

민주평화당이 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재구성여부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총선을 1년여 앞둔 상황에서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당장 정의당과 교섭단체를 꾸리면 원내 영향력이 커져 중앙정치권에 전북 등 호남의 요구를 반영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정당의 이념이나 지역 기반을 고려해 투표하는 차기 총선 유권자를 생각하면 생존을 장담할 수 없다.

반면 교섭단체를 꾸리지 않으면 바른미래당 내부 호남 중진들과 ‘제3지대 정당’ 창당과 지역구 활동에 집중할 수 있다. 또 정의당과 이념적 정체성 문제로 부딪힐 우려도 사라진다.

다만 바른미래당이 언제 해체수순을 밟을 지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라 계속 제3지대에만 집중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평화당 내부에서는 신중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공동교섭단체 구성은 당의 진로와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성급하게 결정할 게 아니라는 것이다.

전북 의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A국회의원은 “우선 교섭단체 지위 회복이 필요하다”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각 상임위에서 간사직을 맡아야 지역예산확보 등 현안해결에도 조력해 지역구 의원으로서 존재감을 부각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A의원은 또 “현재 바른미래당이 내홍을 겪고 있어도 언제 해체수순을 밟을 지 예측할 수 없다”며 “우선 중앙정치권에서 당의 인지도와 영향력부터 키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B국회의원은 “최저임금 문제나 탄력근로제 등 노동·경제정책을 바라보는 시각에 온도차가 있고 이념적 정체성에도 다소 차이가 있다”며 “기존에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으로 교섭단체를 꾸렸을 때도 이런 부분에서 생각의 차이가 드러났다”면서 반대입장을 밝혔다.

B의원은 이어 “총선이 얼마 남지도 않았는데 정체성 문제를 비롯해 여러 가지 문제에 휩싸일 필요가 없다”며 “자칫 바른미래당 호남 중진의원들과 제3정당을 창당할 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평화당은 9일 정의당의 공동교섭단체 구성제안을 두고 9일 저녁 의원총회를 열어 당론을 모을 예정이다. 당의 진로를 결정하는 중대한 결정인 만큼 전 당원의 뜻을 수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당원 여론조사나 투표를 실시하는 방안 등이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의당은 지난 5일 평화당에 공동 교섭단체 구성을 제안했다. 윤소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을 복원해 국회를 바꾸고 정치를 바꿔나갈 수 있도록 평화당이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논의해주실 것을 정중하게 요청드린다”고 공식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