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뢰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의장직 사퇴 요구를 받고 있는 송성환 전북도의장이 “의장직을 수행하며, 재판에 성실히 임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의회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송 의장의 거취에 대한 일치된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
의원들 사이에서는 송 의장의 행보에 대해 강한 실망감을 표출하는 목소리와 무죄추정의 원칙에 따라 1심 판결을 지켜보자는 목소리가 나오는 등 내홍이 일고 있다.
이한기 전북도의회 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9일 제362회 임시회 본회의에 앞서 의원총회를 비공개로 열고 송 의장의 의장직 거취와 관련한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전북도의회 의원은 총 39명이며, 이 가운데 36명이 민주당 소속으로 비공개 의원총회에는 모두 26명의 도의원이 참석했다.
이날 송 의장의 의장직 사퇴 권고 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의총에서는 △도의회 윤리특별위원회 결과를 본 후 추후 논의 △1심 판결 결과를 지켜본 후 결정 등 2가지 안건이 올랐고, 결국 윤리특위 결과를 지켜보는 쪽으로 결론났다.
이에 따라 도의회는 이달 24일 법률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윤리 행동강령자문위원회를 열고 다음달 초 윤리특위를 개최할 예정이다.
5월 초 열릴 윤리특위는 △경고 △공개사과 △출석정지 30일 △제명 등 4가지 유형 중 사안에 따라 징계를 결정할 수 있다.
가장 무거운 징계인 제명은 의원직까지 상실돼 제명 결정이 내려질 가능성은 낮으며, 지난 9일 열린 본회의에서 송 의장이 도민 및 의회에 사과를 한 적이 있어 공개사과도 징계유형에 해당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앞선 지난 15일 전북도의회 민주당 원내대표와 부의장단과 송 의장과 면담을 통해 “상임위원회 의견을 수렴한 결과 의장직을 내려놓고 명예회복을 위한 법리 다툼을 벌이는 것이 나을 것”이라는 의견을 전달한 바 있다.
전북도의회 한 의원은 “의장의 심정을 모르는 건 아니지만 민주당과 의회를 위해 의장직 신분을 내려 놓고 법리다툼을 벌이는 게 가장 최선의 방법”이라며 “하지만 끝까지 의장직을 내려놓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니 실망스러우면서도 안됐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은 “1심 재판은 길어야 두 달안에 나올 것으로 보이는데 그 안에 의장직을 내려놓게 하는 것은 가혹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의장 본인 역시 뇌물을 받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니 법원 판결을 지켜본 후 결정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