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자연마을 정책지도’ 제작

행정리 5197개, 자연마을 수 6898개 파악
마을단위까지 균형 있는 정책수립·시행 가능

전북지역 마을 단위 사업 추진에 있어 균형 있고, 세밀한 맞춤형 지원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북도는 농산어촌지역 자연마을에 대한 정밀조사를 통해 ‘자연마을 정책지도’를 제작했다고 24일 밝혔다.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연구원을 통해 ‘전라북도 농촌과소화 정책지도 제작 연구’ 용역을 실시한 결과, 도내 행정리는 5197개, 자연마을 수는 6898개로 조사됐다.

그동안 마을 통계는 행정리 기준으로만 관리가 이뤄졌으며, 자연마을 단위는 정확히 파악이 어려워 추정치로 관리해 왔다. 마을 단위가 법정리와 행정리의 경계를 혼용해 사용되다보니 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시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자연마을 중심으로 사업이 추진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번 자연마을 정책지도 제작으로, 농어촌지역 자연마을의 공간적 범위를 확보, 마을단위 사업을 균형 있게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또 자연마을 정책지도에 주소화 된 다양한 통계 데이터를 결합하면 각종 정책에 활용도 가능해 졌다.

전북도 관계자는 “자연마을단위 공간자료 구축은 그 자체로도 의미가 크다”면서 “앞으로 시간·공간적으로 변화 추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시각화해 정책 대응에 활용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연구원이 주관한 이번 연구는 전북도 농촌활력과와 시·군, 읍·면 담당자, 농어촌종합지원센터, 마을이장 등 5424명이 현장조사 실무인력으로 참여해 용역을 완료했으며, 통계청과 협업해 지난 16년간의 통계데이터, 전북도 자체 조사결과(2017년) 등 통계자료를 활용해 신뢰도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