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구도심 저층 주거지를 중심으로 빈집이 늘고 있다.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와 신도시 개발이 빈집 양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28일 전주시에 따르면 현재 전주지역의 빈집은 약 4700채로 추산된다.
시는 장기간 방치돼 각종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빈집에 대한 맞춤형 정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시는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함께 오는 12월까지 ‘빈집 실태조사 및 정비계획 용역’을 실시한다.
우선 빈집의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기로 했다. 오는 7월까지 빈집 실태조사를 실시한 뒤, 이를 토대로 빈집 상태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해 맞춤형 정비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1년 이상 수도·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등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주택이 빈집으로 분류된다.
빈집은 노후화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뉘는데, 1~2등급은 리모델링을 통해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임대주택으로 활용되도록 전주시가 중개인 역할을 한다. 3~4등급은 소유자에게 처분 또는 철거를 권고할 방침이다.
시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빈집 정비에 돌입할 계획이다.
시는 노후화가 심해 재활용이 어려운 빈집에 대해서는 빈집 소유자 및 인근 주민과 협의해 공용주차장, 공용텃밭 등으로 재생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고질적인 주차난을 해소하고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 쇠퇴한 도심에 활기를 불어넣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사유지인 빈집의 철거 또는 리모델링은 강제사항이 아니어서 시 재정사업이나 주민 주도의 도시재생으로 빈집 정비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서 시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빈집 정비사업에 총 14억 5000만원을 들여 총 128채의 빈집을 시민들을 위한 공공시설로 제공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실태조사를 계기로 빈집을 체계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될 것”이라며 “효율적으로 정비·활용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 지역 주거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