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금융사업 규제를 완화하는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한 가운데 제3금융중심지를 준비하는 전북도 차원의 발빠른 대책이 요구된다.
금융규제 샌드박스란 신제품, 신서비스를 출시할 때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해주는 제도로 정부는 지난 4월1일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시행과 함께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했다.
전북혁신도시 내 제3금융중심지 지정과 금융타운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전북도 입장에서 금융규제 샌드박스는 국민연금 자산운용과 농·생명 산업에 특화된 금융 모델을 발굴시킬 절호의 기회로 보인다.
하지만 전북에서는 아직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어 정부 정책이‘그림의 떡’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반면 부산시와 부산경남지역 향토금융사인 BNK금융그룹은 지난 2월15일 최종구 금융위원장을 초청해 금융규제 샌드박스 설명회를 마련하고 부산 지역차원의 금융생태계 구축에 들어가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자리에서 최종구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지역산업을 바라보는 자치단체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면서“금융혁신이라는 변화의 흐름을 읽고 정부의 정책적인 의지를 잘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부산시 등은 금융규제 샌드박스가 부산 금융중심지 육성·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북 역시 금융규제 샌드박스와 혁신금융서비스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자산운용 금융 생태계 조성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전북은 연기금 및 자산운용 산업과 연계한 핀테크 기업 유치방안을 중점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부경대학교 이유태 교수는 최근 개최된‘전북혁신도시 특화 발전방안 토론회’의 패널로 참석해 “전북혁신도시가 금융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혁명적 사고가 필요하다”며“핀테크 등 관련기술 특화로 디지털화를 이루고 여기에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과감한 규제개혁이 이뤄져야한다”며 금융역량 향상을 주문했었다.
한편 금융당국은 지난 1월 샌드박스 105건을 사전 신청받아 이 중 9건을 최종 선정했다. 5월 초에는 2차 샌드박스 신청 기관에 대한 접수와 선정이 이뤄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