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날’(5월 1일) 휴무 기준이 교육시설마다 제각각이어서 맞벌이 학부모들의 혼선과 불편을 야기한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휴무 대상인 어린이집도 보육수요가 있다면 정상적으로 운영해야 하지만 전북 일부시설에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학부모들만 속앓이를 하고 있다.
어린이집·유치원·초등학교 중 원칙적으로 5월 1일에 쉬는 곳은 어린이집뿐이다. 어린이집 교사는 근로자로 분류되지만 유치원·초등학교 교사는 교육자로 분류되는 탓이다.
그러나 전북지역 유치원·초등학교에서도 쉬는 곳이 상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일수 내 휴원 또는 휴교는 기관장의 재량이기 때문이다.
도내 학부모들은 예상치 못한 휴교에 당황스럽다는 반응과 ‘근로자의 날’때마다 되풀이되는 보육 걱정에 한숨을 쉬고 있다.
6세 자녀를 둔 워킹맘 김현주(전주 송천동·36) 씨는 “유치원은 쉬는 날이 아니지만 스승의 날에 쉬어야 하는 걸 대신 쉰다며 휴무 통보를 받았다”면서 “유치원 입학 당시 휴무 관련 공지를 안내했다고 하지만, 유치원이 근로자의 날에 쉬는 건 예상치 못해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전북지역 초등학교 424개교 중 182개교도 학교장 재량에 따라 휴교한다.
복수의 학교 관계자들은 “급식노동자가 근로자로 포함돼 급식실이 쉬다 보니 정상 수업을 하기 어렵고, 이날 쉬는 가정도 많아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을 주기 위해 휴교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어린이집도 보육 수요조사를 해 이날 등원을 원하는 원아가 있다면 정상 운영하거나 당직 교사를 둬 통합보육을 해야 하지만 도내 일부 시설에서 형식적인 수요조사에 그쳤다는 지적도 나왔다.
전주 인후동의 A씨는 “딸이 다니는 어린이집에서 ‘5월 1일 보육 수요조사’ 해서 보낸다고 했더니, 전화 와서 우리애만 등원한다고 눈치를 줬다”며 “혹여 딸에게 피해가 갈까 결국 안 보낸다고 했는데 이럴거면 수요조사의 의미가 없지 않느냐”고 비판했다.
학부모 김미향(전주 서신동·33) 씨는 “근로자의 날에는 아이돌봄서비스가 휴일 요금이 적용돼 부담이지만 결국 방법이 없어 신청했다”며 “교사들 입장을 생각하면 당직 안 나오고 쉬고 싶은 게 당연하다. 차라리 모두 다 쉬는 법정공휴일이 낫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