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시스템반도체 성공으로 미래 선도…삼성 목표 돕겠다”

삼성전자 국내공장 첫 방문…“2030년까지 종합반도체 강국 도약”
“공공분야부터 열어 민간수요 마중물…지원 아끼지 않겠다”
2030년까지 파운드리 세계1위, 팹리스 시장점유율 10% 달성 목표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시스템반도체 분야 도전이 성공하면 명실상부한 종합반도체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한국은 미래를 만드는 나라, 우리 제품은 미래를 선도하는 제품으로 우뚝 설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경기 화성의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서 열린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오늘 국민 보고는 메모리반도체 분야 세계 1위를 도약대 삼아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것이며, 지금의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한국산 제품에 ‘첨단’을 넘어 ‘미래’를 담는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우리가 메모리반도체 시장에 뛰어들었을 때 세계는 성공하기 어렵다고 했지만 2002년 이래 현재까지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우리 목표는 분명하다”며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1위를 유지하는 한편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파운드리 분야 세계 1위, 팹리스 분야 시장점유율 10%를 달성해 종합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운드리는 반도체산업에서 외부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 제품을 위탁 받아 생산·공급하는 공장을 가진 전문 생산 업체이며, 팹리스는 반도체 제조 공정 중 하드웨어 소자의 설계와 판매만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이다.

문 대통령은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1.5배 이상 큰 시장으로, 성장 가능성도 무궁무진하다”며 “앞으로 로봇·바이오·자동차 등 산업 전 분야에 활용되면 2022년에는 3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우리에게도 새로운 가능성이 활짝 열려 있다”며 “아직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3% 정도에 불과하고 자동차용 반도체, 바이오와 휴대폰용 반도체 등 기술력이 필요한 반도체는 수입에 의존하지만 우리는 얼마든지 세계시장을 석권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시스템반도체 산업이 성공하려면 사람·기술에 대한 투자와 산업 생태계 경쟁력이 중요하다”며 “설계기업 팹리스와 생산기업 파운드리의 협력·상생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사람·기술에 집중 투자하겠다”며 “반도체 분야 국가 R&D(연구개발)를 확대하고 유망 수요 기술은 정부 R&D에 우선 반영하겠다. 내년부터 1조원 수준의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 차세대 반도체 원천기술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문 대통령은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자해 파운드리 세계 1위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며 “원대한 목표 설정에 박수를 보내며 정부도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선진국으로 태어나는 나라도, 시작부터 세계 최고인 기업도 없다”며 “우리 자신의 힘으로 선진국이 됐고, 세계 최고 기업을 만들어냈다. 정부도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