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이 들끓고 있는 전북혁신도시 주변 등 도내 축산단지의 ‘악취’를 줄이기 위한 대책이 수립됐다.
전북도는 올해를 축산환경개선 원년으로 선포하고, 축산밀집지역 구조개선을 위한 초강도 대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1일 도에 따르면 ‘축산냄새 저감대책’ 중 핵심은 전북혁신도시 냄새민원 해소를 위한 김제 축산밀집지역 구조개선사업이다. 이 지역의 축산악취 저감을 위해 설치되는 시설은 오는 6월중 착공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사업에는 전북도와 김제시, 전주시와 완주군이 서로 협력하고 재원을 분담했다.
이들 지자체는 축산농가 전반에 안개분무시스템 설치하고,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과 퇴·액비화 시설에 대한 시설밀폐를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앞서 올해 본예산에 155억 원의 축산악취개선을 위한 사업비를 반영했다.
김제 용지 외에도 대규모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도내 축산냄새 중점관리지역에 대한 냄새저감 대책도 추진된다.
축산냄새 중점관리지역은 전주와 남원 무주를 제외한 11개 시·군 23개 지역이다. 이 사업은 농가별 맞춤형 지원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도는 23개 지역 중 18개 지역의 선정을 마쳤으며, 향후 주민의견 수렴 등을 통해 나머지 지역을 확정할 계획이다.
최재용 전북도 농축수산식품국장은 “올해는 전북의 축산업이 이웃과 함께하는 축산업으로 변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이번 대책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축산농가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