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사업 지역상생 방안이 확정되는 등 새만금 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첫 단추를 뀄다.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 민관협의회(공동위원장 안충환 새만금개발청 차장, 오창환 전북대학교 교수)는 지난달 30일 제3차 회의를 개최하고 새만금 태양광 발전사업의 지역상생 방안을 확정했다.
민관협의회는 지역주도형 태양광 발전사업은 당초 300MW에서 500MW로 대폭 확대했으며, 공사주도형 사업은 300MW에서 200MW로, 내부개발 및 투자유치형 사업은 1500MW에서 1400MW로 각각 조정했다. 계통연계형(한국수력원자력) 사업은 당초 계획대로 300MW를 유지하기로 했다.
특히 주민과 이익을 공유하기 위해 새만금 태양광 발전사업 2400MW 가운데 31% 수준인 744MW에 지역주민이 채권 등의 형태로 참여할 수 있게 했다.
지역주도형(지자체별로 수익률 별도 산정) 사업을 제외한 공사주도형·계통연계형·내부개발 및 투자유치형 사업의 지역주민에게 제공되는 수익률은 연 7%이며, 투자기간은 15년 만기로 할 계획이다.
지역기업 참여율은 새만금 사업 지역기업 우대기준을 준용해 지역기업이 시공에 참여하도록 했다.
지역주도형 사업은 전북도와 군산시, 김제시, 부안군이 사업 주체이며, 주민참여방식과 수익률, 지역기업 참여율 등을 자율적으로 결정해 시행할 예정이다.
민관협의회는 또 새만금개발공사가 선도사업으로 추진하는 공사주도형 사업 200MW 중 100MW에 대한 사업자 선정을 위해 2일 공모를 진행하기로 했다.
오창환 민간위원장은 “민간위원들은 재생에너지 사업을 통해 전북의 이익 극대화와 기업유치를 도모하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서로의 양보를 바탕으로 어렵게 타결한 1단계 합의가 성공적인 새만금 재생에너지사업의 큰 걸음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안충환 정부위원장은 “민관 위원들이 머리를 맞대고 수차례 회의를 거듭해 마련한 지역상생 방안이 지역에 활력을 주고, 새만금 내부개발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원택 전북도 정무부지사는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에 많은 지역주민과 지역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으며,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