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에 참여할 입지자들의 허위 권리당원 모집 경쟁이 가열되고 있어 권리당원 자격을 확인할 수 있는 검증시스템 마련이 요구된다.
민주당은 지난달 16일 총선공천제도기획단 회의를 열고 내년 4월 15일 치러질 총선의 공천기준을 잠정 확정했다.
잠정 확정된 기준은 권리당원 50%와 일반국민 50%로 선거인단을 꾸려 경선을 치르기로 해 공천경쟁에 참여할 각각의 입지자들은 권리당원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권리당원을 얼마나 많이 확보하느냐에 따라 사실상 공천경쟁의 승기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권리당원이 제출한 주소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증시스템이 없어 허위 당원 모집 부작용이 심각한 실정이다.
예를 들면 서울이나 부산, 진안 등에 주소지를 둔 사람이 전주 지역에 출마할 입지자를 돕기 위해 권리당원으로 등록하는 게 가능하다. 입당원서에 주소를 거짓으로 적어도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공천에 참여할 입지자들 역시 타지역 지인들을 대상으로 권리당원 등록을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민주당에서는 이름과 전화번호 확인은 가능하지만 주소지를 확인하는 시스템은 없다.
실제 김모씨(56)는 최근 지인으로부터 더불어민주당 권리당원에 가입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김씨의 지인은 내년 총선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려는 후보의 측근이다. 총선에 대비해 권리당원을 모으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김씨는 그 후보와 지역구가 달라 권리당원에 가입해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그런데 김씨의 지인은 “가짜 주소를 써서 가입하면 된다. 전화번호만 정확히 쓰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가입을 권유했다.
이 같은 현실은 비단 전북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국 지역구 곳곳에서도 쉽게 찾아볼 정도로 만연돼 있다는 게 정치권의 설명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주소지를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실정으로 우편물 반송 등 실태조사를 수시로 실시해 주민등록을 정리하고 있다”며 “1인당 1권리당원 가입만 가능해 중복 가입자는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