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사법·국정농단 규명·청산 뒤 협치·타협할 수 있어”

사회원로 간담회서 언급
“적폐수사 그만하라는데...살아 움직이는 수사 통제 못해”

사진제공=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은 2일 국정농단·사법농단 사태와 관련해 “빨리 진상을 규명하고 청산이 이뤄진 다음, 그 성찰 위에서 새로운 나라를 만들어나가자는 데 공감한다면 얼마든지 협치하고 타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이홍구 전 총리를 비롯한 12명의 사회원로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 “어떤 분들은 ‘이제는 적폐수사는 그만하고 통합으로 나가야 하지 않겠냐’는 말씀도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이어 “살아 움직이는 수사에 대해서는 정부가 통제할 수 없다”며 “개인적으로는 국정농단이나 사법농단이 사실이라면 아주 심각한 반헌법적인 것이고, 타협하기 쉽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국정농단이나 사법농단 그 자체를 바라보는 기본적인 입장이나 시각이 다르니까 어려움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더불어 문 대통령은 “가장 힘든 것은 정치권이 정파에 따라 대립이 격렬해지는 현상”이라며 “지지하는 국민 사이에서도 갈수록 적대감이 높아지는 현상이 가장 걱정스럽다”고 우려했다.

또한 “정치라는 것이 참으로 어렵다는 것을 다시금 절감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협치 노력을 해야 하지 않냐는 말씀 많은데, 당연히 노력을 더 해 가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제가 약식 취임식 전 야당 당사를 전부 다 방문했다. 과거 어느 정부보다 야당 대표, 원내대표들을 자주 만났다고 생각하고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도 만들었다”며 “협의체가 정치상황에 따라 표류하지 않도록 분기별로 개최하는 것까지 합의했는데, 거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대통령은 “’종북좌파’라는 말이 어느 한 개인에 대해 위협적인 말이 되지 않고, 생각이 다른 정파에 대해 위협적인 프레임이 되지 않는 세상만 돼도 우리나라가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되고 크게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제 진보·보수의 낡은 프레임·이분법은 통하지 않는 세상이 됐고, 진보·보수 이런 것은 거의 의미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오히려 상식·실용 선에서 판단해야 하고 4차 산업혁명이 불러일으킬 엄청난 산업구조·일자리·사회 변화에 우리가 대응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그래서 그런 프레임을 없애는데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고, 어느 정도는 성과도 거두었다”면서 “그러나 아직도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날 오찬에는 이홍구 전 총리와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이종찬 전 국정원장,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김우식 전 부총리, 정해구 정책기획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또 송호근 포항공대 석좌교수, 조한혜정 연세대 명예교수, 조은 동국대 교수, 안병욱 한국학중앙연구원장 등 학계 인사들도 초청됐다. 김영란·김지형 전 대법관도 참석했다.

청와대에서는 노영민 비서실장, 김수현 정책실장, 강기정 정무수석, 김연명 사회수석, 고민정 대변인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