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군이 장 담그기 체험프로그램인 ‘전통장 문화학교’ 운영을 통해 전통장 문화확산에 나서고 있다.
‘전통장 문화학교’는 지난 2015년부터 서울 소재 초·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장 담그기 체험을 제공하는 1박 2일 프로그램이다. 특히 ‘장 담그기 문화’는 지난해 우리가 지켜야할 문화로 국가무형문화재 제137호로 인정받았다.
27일 순창군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서울 소재 초·중학교 5곳의 학생들을 유치해 전통장 문화학교를 시작했다. 특히 도시 아이들의 반응이 높아 2016년에는 서울 소재 7개 학교와 업무협약을 맺었으며, 지난해에는 서울 소재 20개 초·중학교가 참여한 바 있다.
군은 올해 ‘전통장 문화학교’의 대상 학교를 서울시로 한정하지 않고 전국으로 범위를 확대해 현재까지 전국 24개 초·중학교 1080명이 참여신청을 마쳤으며 5월 현재 전국 15개 학교가 전통장 문화학교를 다녀갔다.
전통장 문화학교는 전통장류 업체를 방문해 직접 고추장·간장 담그기를 체험하고 집밥을 먹는다. 이어 장류체험관에서 전통장 식생활 체험을 하면서 고추장을 이용한 음식들을 만들어서 저녁을 먹은 후,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과 장기자랑, 순창 발효소스토굴을 방문해 VR콘텐츠를 체험하는 특별한 시간도 갖는다. 특히 전통장 문화학교에 참가한 학생들의 체험비와 숙박비, 식비 등은 군이 지원한다.
황숙주 군수는 “전통 장 담그기 문화는 선조들의 위대한 유산으로 보존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전통 장류의 본고장인 순창군이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그동안 쌓아올린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문화체험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