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사랑상품권이 침체한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는 가운데 상품권 ‘할인 발행 지원율(할인율)’에 대한 전북도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예산지원이 요구된다.
군사사랑상품권의 지속적인 발행 및 운영을 위해서는 구매 할인율 10% 유지가 관건이지만, 전북도의 예산지원 없이 군산시 재정만으로는 운영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군산사랑상품권은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에 이은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로 어려움을 겪는 군산지역 내 소상공인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9월부터 발행, 시민들의 폭발적인 호응 속에 유통·운영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2018년도 관내 소상공인 업소별 수입금액을 집계한 결과 군산사랑상품권 가맹점 8412개 업체의 총 매출은 2017년도 대비 1414억 원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 개 업소당 약 1680만 원의 매출 상승효과를 거둔 것이다.
이처럼 군산사랑상품권에 대한 뜨거운 반응과 성공적 운영이라는 평가 나오는 것은 시민들 사이에 상품권이 가계경제는 물론, 지역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식이 확산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상품권 구매에 적용되는 할인율 10%는 군산상랑상품권의 성공적인 운영에 가장 큰 몫을 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문제는 향후 상품권 구매 할인율 10%의 유지 여부다.
상품권 구매 할인율 10% 가운데 국비 지원 4%를 제외한 나머지 6%에 대해 지방비(시비) 예산이 수반돼야 하지만, 고용·산업위기 지역인 군산의 경우 이를 전액 시비로 충당하기는 역부족이다.
이에 군산사랑상품권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타 광역단체의 사례와 같이 군산시에 대한 전북도의 예산 지원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 경기도를 비롯해 경남, 충북 등의 광역단체는 지역사랑 상품권에 대해 적극 지원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경기도는 23.25%, 경남 13%, 충북 16%의 도비를 지자체에 지원해 지역사랑상품권 운영 및 골목상권 활성화에 이바지했다.
군산시 관계자는 “군산사랑상품권이 골목 상권의 소비 진작 효과는 물론 지역자금 역외 유출 방지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그러나 발행 및 할인율 유지를 위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따라 이의 운영을 위해서는 전북도의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지역 순환경제 및 타 지역 할인율 반영 비율을 따져보는 등 13개 시·군에 균등하게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주를 제외한 도내 13개 시·군은 지역상품권을 도입했거나 도입할 계획으로 각 지자체는 올해만 4300억 원어치의 상품권을 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