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해양 쓰레기 처리 비용 부담 비율을 늘려달라는 군산시의 입장에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이 “관계부처와 검토하겠다”고 밝혀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군산시는 지난 21일 해양쓰레기 정화 행사를 위해 선유도 일원을 찾은 문 장관에게 “군산 앞바다에 쌓여 있는 해양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재정 부담이 크다”며 이 같이 요청했다.
시는 “군산 해양쓰레기 발생량이 연간 4000여 톤으로 추정된다”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은 물론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곳 해양쓰레기의 경우 금강을 타고 흘러 내려온 타 지역 쓰레기도 상당수 포함돼 있다”며 “정부는 이런 지역 현실을 감안해 적극적인 예산 지원을 해 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 지역 해양 쓰레기의 한해 처리비용은 16억 원으로 사실상 정부와 지방이 절반씩 부담하고 있다”면서 “갈수록 바다 쓰레기가 늘고 있는 만큼 해양환경을 살리고 지방의 부담도 줄일 수 있도록 처리비 비율을 70대 30 수준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문 장관은 “지역의 어려운 현실을 인식하고 있다”며 “지방 보조를 늘릴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관계부처와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이날 선유도 일원에서 봉사자들과 함께 해안가 주변을 청소했다. 이번 해양쓰레기 정화 행사는 지난 5월 발표된 ‘해양플라스틱 저감 종합대책’과 연계해 이달 17일부터 23일까지 추진된 ‘해양쓰레기 정화 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만 연간 약 15만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정부는 해양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매월 셋째 주 금요일을 ‘연안 정화의 날’로 정하고 지역별로 해양쓰레기 수거 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