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 통행료 수납전문 자회사 출범

1일부터 수납업무 한국도로공사서비스(주)에서 전담

한국도로공사(사장 이강래)는 1일 관할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업무를 전담하는 한국도로공사서비스㈜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도공의 자회사인 한국도로공사서비스㈜는 그동안 용역업체에서 수행하였던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업무를 배타적, 독점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공에 따르면 기존 용역업체와의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에 맞춰 지난달 1일 31곳, 16일 13곳을 전환·운영한데 이어, 1일부터 잔여 영업소 310곳을 전환하는 등 354개 모든 영업소의 통행료 수납업무를 한국도로공사서비스㈜가 총괄하게 됐다.

자회사 임금은 용역업체 임금 대비 평균 30% 인상되고, 정년은 60세에서 61세로 연장되는 등 수납원의 근로조건이 개선됐으며, 건강검진비, 피복비 등 복지후생도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도공은 수납원의 고용안정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정부협의를 통해 자회사를 빠른 시일 내에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도록 노력하고, 향후에는 자회사 업무를 콜센터 등 수납업무 외의 영역까지 확장해 고속도로 종합서비스 전문회사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강래 사장은 “앞으로 자회사를 통해 수납업무를 더욱 체계적, 전문적으로 운영하면서, 전환 비동의자들에 대해서도 자회사에 추가 합류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총 6500여명의 수납원 가운데 5100여명이 자회사로 전환했으며, 민주노총과 톨게이트 노조 중심으로 1400여명이 자회사 전환에 동의하지 않은 채 한국도로공사의 직접 고용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도공은 자회사 전환 비동의자들의 자회사 합류 거부로 발생한 부족 인원은 영업소 운영인력을 최적화하고, 자회사에서 750여명의 기간제 직원을 채용해 요금소 운영에 문제가 없도록 조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