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수돗물 ‘안전’

71개소 대상 종합 수질검사 결과 먹는 물 수질기준 ‘적합’

전주시 맑은물사업본부(본부장 강승권)는 여름철을 맞아 고산정수장과 배수지 10곳, 수도꼭지 60개 등 총 71곳의 수돗물 대상 종합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 판정됐다고 2일 밝혔다.

맑은물사업본부는 최근 인천과 서울과 부산, 안산, 평택 등 전국적으로 수돗물 적수유출 사태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지난달 24일부터 1일까지 약 1주일 동안 수질검사실 검사요원들을 2인 1조의 2개조로 편성, 정수장부터 배수지, 수도꼭지수까지 각 급수과정 단계별로 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전주시 수돗물은△탁도 △수소이온농도 △잔류염소 △철 △아연 △구리 등 2차로 수질변화가 발생하거나 적수발생 오염 가능 여부를 알아보는 총 12개 항목에서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준치 0.3㎎/ℓ인 붉은 물의 원인인 철 성분은 71곳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수질기준이 3.0㎎/ℓ이하인 아연성분의 경우 최대 0.18㎎/ℓ, 평균 0.08㎎/ℓ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물의 탁한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는 최대 0.15NTU, 평균 0.07NTU(기준 0.5NTU이하)로 나타났다.

잔류염소는 최대 0.56㎎/ℓ, 평균 0.35㎎/ℓ(기준 4.0㎎/ℓ)였다. 잔류염소는 불검출시 오히려 세균·대장균이 발생하거나 미생물막 형성으로 안전성에 빨간불이 켜진다.

수소이온농도(pH)는 평균 7.1 이었다. 수소이온농도가 6.5이하이면 산성이고 7.5이상이면 알칼리성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전주시 수돗물은 그동안 지속적인 맑은물공급사업을 통해 노후관을 개량하고, 급격한 제수변 조작을 방지하며, 수질검사도 관련규정보다 월등히 강화해 실시하는 등 시민들에게 항시 맑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며 “안전하게 관리되고 공급되는 수돗물을 안심하고 사용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