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김동원 총장과 보직 교수들이 최근 잇달아 발생한 교수 비위 사건들에 대해 지역민에게 고개를 숙였다.
전북대는 9일 대학 진수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갑질·성추행·미성년 자녀 논문 공저 등으로 교수들이 검·경찰 수사를 받는 것에 대해 사과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김동원 총장은 “교수 개인의 일탈이라거나 과거에 불거진 사건이라는 이유로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며 보직 교수 20여 명과 함께 깊이 고개 숙여 사과했다.
김 총장은 “대학 최고 책임자로서 현 상황에 대한 책임을 통감한다”며 “그동안 예견된 문제들을 관행처럼 여긴 채 안일하게 대한 것은 아닌지 진중하게 되돌아보겠다”고 말했다.
전북대는 대학 내 성범죄 근절과 교수 연구윤리 강화, 투명한 행정을 위해 개선책을 내놨다.
김 총장은 “교수 징계는 위법 사실 결과에 따라 처리해야 하지만 교수 윤리에서 크게 벗어나거나 추가적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재판 선고와 관계없이 직위해제 등 선행 조치를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또 연구감사실 기능과 인력을 보강해 논문과 연구비 등에 대한 자체 감사 기능을 강화한다. 특히 채용과 승진, 업적 평가에도 연구 윤리 부문을 엄격히 심사할 계획이다.
연구 불공정 행위 상담 창구 운영, 인권센터 독립기구화, 피해자 보호 및 지원 매뉴얼 재정비 등을 예방 대책으로 세웠다. 가해자와 피해자를 최대한 빨리 분리해 피해자 보호에 힘쓴다. 특권의식 지양·성인지·연구윤리 교육 등도 강화한다.
한편, 이날 교육부는 지난 5월 전북대 A교수가 미성년 자녀를 논문 공저자로 올린 것이 드러나자 실시한 전북대 특별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A교수 두 자녀의 전북대 입학 허가를 취소 통보하고 사안과 관련해 검찰 고발 및 수사 의뢰를 했다. 또 감사에서 A교수 등 23명 교직원의 부실 행위를 적발해 신분상 조치를 전북대에 통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