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10일 광주에서 열린 제5차 국토종합계획 호남·제주권 공청회에서 도로·철도 단절구간의 속도감 있는 연결과 남북 인프라 연계를 통한 복합물류체계를 구축해 전북을 환서해·환동해 접경지 경제벨트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또 새만금과 혁신도시를 균형발전 거점으로 만드는 한편 중소도시권의 거점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여기에 KTX, 공항, 항만을 적극 활용해 배후지역 다기능 거점 육성함으로써 전북이 대한민국 향후 20년 발전방향에 중요한 역할은 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공청회는 국토개발계획과 관련 국민과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위해 개최됐다.
전북도는 앞서 지난해 6월부터 전북연구원과 도내 14개 시·군 의견수렴 및 도청 내 각 부서, 분야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 담을 발전방향 수립했다.
도는 ‘사람이 모이는 농생명·신재생 융복합 신산업의 중심’을 향후 20년 발전방향의 비전으로 설정하고, 4대 중심목표로 △스마트 농생명산업 수도 △신재생 융복합 신산업 거점 △문화와 관광 여행체험 1번지 △글로벌 SOC구축 안심 삶터를 제시했다.
특히 도내 5대 권역 공간 발전구상과 이 5대 권역을 연결한 5대축을 전략적 발전구상으로 담았다.
전북발전 5대 거점으로는 △새만금권 신재생·해양 관광레저 거점 △중추혁신도시권 미래 주력산업 거점 △동북권 태권시티·휴양힐링 거점 △동남권 식품·의료 체험관광 거점 △서남권 방사선·해양역사 복합 산업 거점을 선정했다.
한편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은 당초 계획보다 1년 앞당겨 수립절차가 진행 중에 있으며, 국토정책위원회 심의와 대통령 승인 등을 거쳐 올해 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