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빈집 4곳 중 1곳은 무허가 건축물

시, 실태조사 결과 2048세대 중 502세대 불법 증개축
유형별 분리 후 안전상태 등에 따라 맞춤형 빈집정비 추진

전주시내 빈집 4곳 중 1곳은 불법증축되거나 건축물대장이 없는 등 무허가 건축물인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전주시가 지난 3월부터 한국국토정보공사(LX)와 함께 빈집현장조사를 벌인 결과에 따르면, 전주시에는 모두 2048세대의 빈집(완산 1220세대, 덕진 828세대)이 확인됐으며, 이중 500여 세대가 무허가 건축물이었다.

빈집 조사결과는 최근 1년간 에너지 사용이 없고, 빈집으로 추정되는 주택을 추출한 뒤 현장확인을 거친 것이다.

이에 시는 LX와 함께 이달 말부터 도심 속 방치된 빈집을 유형과 안전상태 등을 고려해 체계적으로 정비하기 위한 빈집 정비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시는 민간참여와 빈집·도시재생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해 빈집의 유형과 안전상태 등을 고려한 체계적인 정비계획 수립에 착수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향후 빈집 정비계획 수립 시 주거지재생과 연계해 구도심 주거지를 보존하고, 단순 철거형 정비방식이 아닌 주민주도의 정비 방향을 설정한다.

도심 속 빈집이 더 이상 방치되지 않도록 빈집 소유자와 수요자 간의 중개역할을 하는 ‘빈집뱅크’도 운영된다.

최무결 전주시 생태도시국장은 “빈집에 대한 실태조사가 마무리 되는대로 빠른 시일 내에 빈집뱅크 운영 및 소유자 면담을 통해 빈집에 대한 주민의 의견을 수렴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빈집 정비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