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8월 중순부터 이해찬 대표를 중심으로 인재영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총선체제에 돌입할 예정인 가운데 전북 선거구에도 ‘새로운 피’ 수혈이 이뤄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민주당은 인재영입이 내년 4월 총선의 승패를 가를 만큼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새로 영입한 인사의 ‘흥행몰이’가 성공하면 총선에서 승리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당은 지난 20대 총선 때 텃밭인 전북에서 의석수를 두 자리밖에 사수하지 못한 점도 염두에 두고 있다.
당 지도부는 이미 인재영입을 위한 물밑작업에 나선 상태다. 동시에 물갈이 지역을 추려내는 사전작업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총선 불출마를 선언해 중진 물갈이 명분을 갖춘 이해찬 대표가 당의 원로급 의원들을 상대로 불출마를 권유하는 식이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서는 청와대 출신 인사들과 지역구를 지키려는 현역의원들, 경선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후보자들 사이에 갈등이 점점 격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전북 지역구에서도 이 같은 여파가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0대 총선 당시 민주당의 전국 현역 물갈이 비율은 30%를 웃돌았으며, 전북도 10개 선거구 가운데 단 3곳만 경선으로 후보를 선출하고 나머지 7곳은 전략·단수공천을 단행했다. 이 중 인재영입 사례는 남원·임실·순창의 박희승 현 지역위원장, 정읍·고창의 하정열 전 한국안보통일연구원장이다.
올해는 정읍·고창 지역위원장으로 임명한 윤준병 서울시 행정 1부시장이 영입 첫 사례다.
이 같은 인재영입은 오는 9월 총선기획단을 출범시킨 뒤 본격화할 예정이다. 민주당 전략기획위원회는 이미 선거준비 일정 로드맵을 세워놓은 상태다. 구체적으로는 11월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 12월 전략공천관리위원회, 내년 1월 공천관리위원회·재심위원회, 1월 중순선거관리위원회, 2~3월 비례대표 공관위·국민공천심사단 등을 설치할 예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략공천위원회가 전북 선거구도 전략공천 대상지역으로 정할 지 관심이 모아진다. 민주당 당규에 따르면 △공직자 평가 및 검증 결과 공천배제 대상자가 포함된 선거구 △분구가 확정된 선거구 중 지역위원장이 공석인 선거구 △분석 결과 후보자의 본선 경쟁력이 현저히 낮은 선거구 △절대 우세지역임에도 직전 선거에서 패배한 지역 등이 전략공천 대상지역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전북 선거구도 후보자의 본선 경쟁력 등이 낮다고 판단되면 물갈이를 단행할 수도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며“다만 지난 20대 총선 당시 물갈이에 대한 부작용이 컸기 때문에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