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새우깡의 주원료인 국내산 꽃새우에 폐플라스틱 등 이물질이 적지 않다며 미국산으로 교체할 방침을 밝혔던 (주)농심이 도내 국회의원의 중재로 입장을 선회했다. (주)농심은 이날 어민들과 품질개선 및 납품재개 등을 위한 상생협의체 구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관련기사 26일·30일자 6면)
바른미래당 김관영 국회의원(군산)은 지난 29일 (주)농심 관계자들과 국회에서 긴급 면담을 가진데 이어 어민 대표단과 합동 회의에서 사태해결을 위한 상생협의체 구성을 논의키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면담은 ㈜농심이 최근 새우깡 주원료인 꽃새우의 품질 문제로 인해 외국산으로 교체하겠다는 밝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농심측 관계자는 “새우깡 원료의 100% 외산화 이유가 품질관리 차원이며, 원료에 이물질이 적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기업 입장에선 수익과 품질관리가 우선이나 지난 30여년 동안 원료를 묵묵히 수급해온 어민과의 신뢰도 중요하다”며“농심에서 꽃새우 어민들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함께 했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또 “㈜농심이 꽃새우 품질문제를 제기하는 과정에서 서해를 폐플라스틱 오염지대로 낙인을 찍었는데, 이 때문에 서해 어족 판로 시장 전체가 교란됐다”며 정정 보도도 주문했다.
㈜농심측도 언론 보도가 일부 과장·오도된 부분이 있다며 수정보도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면담에는 농심에서 차태호 구매실장·상무와 경영기획실 상생협력팀이 참석했으며, 이태근 군산시 수산업협동조합·해망동 위판장 장장과 김진석 (사)군산조망협회 고문 등이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