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이 31일 당 소속 의원에게 배포한 한일 갈등 여론 분석 보고서와 관련, “적절치 못한 내용이 배포됐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연구원은 이날 별도 배포한 메시지를 통해 “내부 검토 절차를 충분히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부적절한 내용이 나갔다”며 “관련자들에게 엄중한 주의와 경고 조치를 취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한일 갈등을 선거와 연결 짓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조사 및 분석보고서가 오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보다 신중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연구원은 30일 의원들에게 배포한 ‘한일 갈등에 관한 여론 동향’ 보고서에서 “일본의 무리한 수출규제로 야기된 한일 갈등에 대한 각 당의 대응이 총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이 많고, 원칙적인 대응을 선호하는 의견이 많다”며 “총선 영향은 긍정적일 것”이라고 분석해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등 야당은 민주당이 일본의 경제보복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속내가 드러났다며 일제히 비판했다.
자유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경제 보복에 나라가 기울어도 총선에 이용하면 그뿐이라는 천인공노할 보고서”라며 “온 국민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시국에 여당은 총선 유불리를 놓고 계산기만 두드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김정화 대변인도 논평에서 “나라가 망하든 말든 총선만 이기면 된다는 발상이 놀랍다”며 “공식입장이 아니란 것도 무책임의 연속이다”고 말했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청와대와 민주당이 일본의 경제보복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의도를 내보인 것에 실망과 충격을 금할 수 없다”며 “민주당은 공식 사과하고,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을 즉각 해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재두 대변인도 논평에서 “민주연구원이 당의 공식 요청으로 보고서를 작성한 것인지, 자발적으로 작성한 것인지 국민 앞에 밝혀야 한다”며 “민주당은 양정철 원장을 즉각 해임하고 국민 앞에 사과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