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경제·노동계, 일본의 한국 백색국가 제외 규탄

경제계 “전북도가 컨트롤타워 역할 맡아 대응에 총력 기울일 것”
노동계 “아베정권은 과거사 사죄, 화이트리스트 배제 철회” 촉구

일본의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한 것과 관련, 전북지역 경제·노동계가 잇따라 규탄 성명을 발표하는 등 일본의 경제보복에 유감을 나타냈다.

도내 경제계는 전북도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 일본의 경제보복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주·군산·익산·전북서남상공회의소 협의체인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는 지난 2일 성명을 내고 “일본정부가 백색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한 것은 수출규제 조치에 이어 치졸한 경제보복”이라며 규탄했다.

협의회는 “일본이 과거에 대한 철저한 반성은커녕 오히려 치졸한 경제보복을 감행한다면 양국 산업계에 모두 행정적인 부담이 커지고 불확실성에 따른 혼란이 가중돼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라고 개탄했다.

이선홍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 회장은 “일본정부가 빠른 시일 내에 백색국가 한국 제외 결정을 조속히 철회하기를 촉구한다”면서 “우리도 작금에 처한 심각한 위협사태에 정부와 산업계는 물론 정치권과 협력을 통해 슬기롭게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 전북본부는 일본의 수출규제 품목 등에 따른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설명회 등을 계획하고 있으며, 전북경제통상진흥원은 피해기업에 대한 긴급경영자금 지원과 융자금 상환유예 조치 등 대비태세에 나섰다.

무역협회 전북본부 관계자는 “일본의 경제보복과 관련, 현재까지 도내에는 타 지역에 비해 영향이 크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서울에서 8월, 전북에서 9월에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관련 설명회를 개최해 도내 기업들의 피해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중요한 것은 갈등상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라면서 “현재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른 대응책으로 제품생산을 위한 원료, 소재에 대한 제고확보 등으로 자체적 대응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길어야 2~3개월 내 소진돼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걱정했다.

전북경진원 관계자는 “전북도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면서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 수출 규제 기업 피해신고센터 운영은 물론,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이 전북지역 경제에 최소화될 수 있도록 비상대책반을 꾸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전북민중행동 등 도내 노동계에서도 한국에 대한 일본의 백색국가 배제 결정에 발끈했다.

전북민중행동도 논평을 통해 “수출규제 조치에 이어, 백색국가 배제 결정은 일본의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배상 판결을 빌미로 명백한 경제 보복”이라며 “아베정권은 과거사에 사죄하고, 화이트리스트 배제를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아베정권의 수출심사 우대국 배제로 한·일 양국 간 경제와 평화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로 인해 고통받는 건 두 나라의 민중”이라면서 “전북민중행동은 아베정권의 책동을 강력히 규탄하며 진정한 평화를 원하는 일본의 민중과 함께 굳건한 ‘반아베’ 연대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