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다시 평화!' 전시 참여 한숙·정하영 작가] “작은 날갯짓이 모여 큰 희망을 만들죠. 누구나 할 수 있어요”

“아픈 역사 바로 알고 연대해나갈 것”…전주영화제작소 1층서 17일까지

지난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다시 평화!’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전주영화제작소 1층 전시실에서 만난 정하영(위)·한숙(아래) 작가가 본인의 작품에 담긴 염원을 이야기했다.

지난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다시 평화!’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전주영화제작소 1층 전시실. 이곳에서 만난 한숙·정하영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폭력을 넘어 성평등의 세상으로’ 함께 나아가기 위한 염원을 나눴다.

△ 선물 같은 일상, 낯선 폭력의 매듭 풀어 내길

노란 색의 실선이 모여 육각모양이 되고 또 여럿이 모이자 세계지도를 닮은 커다란 문양을 그려낸다. 실타래에는 아직도 많은 실이 남아있다. 언제나 온전한 육각면으로 탈바꿈할 준비가 됐다는 듯이. 그 옆엔 수많은 케이블 타이를 고리로 엮어 만든 해먹이 걸렸다. 가까이 다가가 표면을 훑어보니 제법 거칠어 보인다. 저마다의 마음이 하나 둘 모여 커다란 안식처를 만들었지만 완전한 안식이 되기엔 아직 곳곳에 풀리지 않은 갈등이 있을 것이다.

정하영 작가는 이 작품의 이름을 ‘The Present - Present!’라 지었다. 현재를 산다는 것이 선물 같지는 않겠지만 일상의 소소한 행복을 선물하고 싶었다는 것. 노란 해먹을 만들면서는 인간 삶의 ‘의식주’에 초점을 맞췄다.

“이 해먹은 언뜻 보면 어머니의 자궁처럼 편히 쉴 수 있는 안식처 같지만, 자세히 보면 가시 돋친 모습이에요. 낯선 그곳에 누워서 한시도 편안할 수 없었던 할머니들의 삶을 표현했고, 보는 이로 하여금 불편함을 만들고자 했죠.”

불편함을 주는 작품은 또 있다. 해먹 바로 옆에는 붉은 색 타이로 짜인 거대한 기모노가 내걸려있다. ’의식주’의 한 요소인 의복에 담긴 민족정신을 말살하고 억지로 주입했던 인권유린의 현장을 시각화했다. 낯선 곳에서 낯선 이름으로 불리며, 맞지 않는 낯선 옷을 입고 버텼던 나날들, 그 차갑고 폭력 앞에서도 뜨거운 심장은 계속해서 뛰고 있다.

작품의 주재료로 케이블 타이를 선택한 이유는 그간의 아픔을 엮고 묶어내 과거를 매듭짓고 현재의 시간을 편안히 보내길 바라는 마음에서라고.

“나를 지켜주지 못한 나라에 살던 여성들의 삶을 보니 타인의 삶이 아니라 결국 우리 모두의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양성평등에 대해서 더욱 관심을 갖고, 작가로서 할 수 있는 발언을 해나가려고 합니다.”

정하영 작가는 전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에서 한국화를, 동대학원에서 조소를 전공했다. 20여년째 설치 작업을 통해 여성과 환경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최근에는 제주 김만덕기념관에서 열린 ‘2019 양성평등주간 기획전- 낯 섦’에 참여하기도 했다.

△ 노란 나비의 꿈, 영원히 나이들지 않는 희망

노란 나비가 소녀 주변을 맴돈다. 열 살 남짓한 어린 아이도, 그 아이의 손을 잡은 엄마도 나비의 춤사위에 시선을 빼앗긴다. 희망에 찬 소녀는 나이를 먹지 않는다. 영원한 기다림 속에 늙지 않는 소녀가 그곳에 있었다.

벽에 걸린 5점의 작품은 어느 날 작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귀향’을 본 이후 가슴에 응어리처럼 남았던 소녀들의 모습이었다. 소녀는 노란 나무 아래 서서 노란 나비를 바라보고 있다. 그렇게 작은 날갯짓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찰나와 함께 한다.

한숙 작가는 “일반의 사람들이 겪기 힘든 고통을 안고 사셨을 할머니들의 인생에도 꿈을 꾸던 꽃봉오리의 시절이 있었을 것”이라며 “인생의 뒤안길에서 모든 걸 내려놓았지만 기다림과 희망을 잃지 않은 가장 아름다운 절정의 순간을 그리고 싶었다”고 이야기했다.

뒤로 좀 더 물러나니 작품 주제인 ‘나비의 꿈’이 한 송이 한 송이 피어난다. 동백꽃으로 가득찬 긴 의자에 가녀린 한 여인이 앉아 쉬고 있다. 비어있는 옆자리에 앉아 가만히 앉아 오른편을 바라보면 따뜻한 눈인사를 건네는 할머니를 마주하게 된다.

“의자작업은 내가 이 할머니들과 함께한다는 마음이죠. 꽃과 나비가 있는 크고 편안한 의자에 앉는 것만으로 당신도 우리와 충분히 함께 할 수 있다고 알려주고 싶었어요.”

이 의자는 전주 풍남문 광장 소녀상 옆에도 설치돼있다. 누구나 이 의자에 앉아 쉬어갈 수 있다. 전시 기간인 17일 이후에는 작가의 작업실이 있는 서학동예술마을에 옮겨 놓고 시민들과 함께 할 예정이다.

‘노란 나비’를 모티브로 20여년간 미술작업을 해오고 있다는 한숙 작가는 ‘노예로 살지 않는 삶’에 집중해왔다. 이번 작업도 여성이자 한 인간으로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고통을 헤아리고 세상을 좋게 만드는 작은 날갯짓에 동참하겠다는 의지였다. 우리 사회에서 성평등이 실현되고 누구나 어렵고 불평등한 것에 대해 말할 수 있게 되길 작가는 염원하고 있다.

한숙 작가는 전북대 예술대학 미술학과를 졸업했다. PLUS, 지속과 확산, SALE, 전북민예총, 전북민미협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전주 서학동예술마을에서 작업실 ‘초록장화’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이번 전시회는 ㈔전북겨레하나,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전북본부,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가 공동주최하고 ㈔전북여성단체연합,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가 주관했다. 오는 17일까지 전주영화제작소 1층 전시실과 전주 풍남문 광장 소녀상 옆에서 두 작가의 작품과 함께 일본군 ‘위안부’와 관련한 일본의 공식사죄와 법적배상을 촉구하는 기록을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