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소재·부품 장비 예산 2조원 이상 반영

전북 탄소산업 육성 호기 맞을 지 '주목'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일본 수출규제 등 경제보복에 맞서 소재·부품 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예산을 내년에 2조원 이상 반영하기로 한 가운데 전북의 탄소산업 육성이 호기를 맞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앞서 정부가 일본 경제보복의 대항마로 전북의 탄소산업을 지목했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전주 효성첨단소재㈜ 탄소섬유 공장에서 열린 전북도-전주시와 효성과의 투자협약에 참석, 탄소섬유 등 100대 핵심 전략품목을 선정해 향후 7년간 8조 원 가량 예산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과 정부는 26일 국회에서 2020년도 예산안을 최종 검토하는 협의회를 열어 소재·부품·장비 산업 자립화 및 경쟁력 제고 예산을 대폭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민주당 조정식 정책위의장은 이날 비공개 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최대 경제현안인 일본 무역보복 대응을 위해 관련 예산을 대폭 확대해 2조원 이상 반영한다”며 “추가적 상황 변화와 적기 대응을 위해 예비비로 증액 편성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당정은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을 위해 ‘소재·부품·장비산업 육성 특별회계’를 설치하고, 소재·부품·장비 산업 특별법, 국가재정법 등 관련 법 개정안을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정부는 이날 당정 협의를 바탕으로 오는 29일 임시 국무회의를 거쳐 다음달 3일 국회에 내년도 예산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전북이 집중 육성하는 탄소산업이 당정의 지원과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앞서 효성은 지난 20일 전북도-전주시와의 투자협약식에서 오는 2028년까지 총 1조 원을 투자, 현재 2000톤 규모의 탄소섬유 생산규모를 2만 4000톤 규모로 확대하는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효성은 1차 라인을 증설 중으로 내년 2월부터 연간 2000톤 규모 탄소섬유를 생산한다. 향후 10개 라인 증설이 마무리되면 효성의 세계 시장점유율은 현 11위(2%)에서 3위(10%)로 도약할 전망이다.

문 대통령도 이날 협약식에 참석해“탄소섬유 등 소재 산업의 핵심 전략품목에 과감한 지원을 하겠다”고 하면서 힘을 보탰다.

문 대통령은“탄소섬유 등 100대 핵심 전략품목을 선정해 향후 7년간 7∼8조 원 이상의 예산 투자를 하겠다”며 “자립화가 시급한 핵심 R&D에 대해서는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신속한 기술개발이 가능한 소재·부품 분야는 재정·세제·금융·규제완화 등 전방위적인 지원으로 빠르게 육성하고, 해외 기술도입이 필요한 분야는 M&A를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노력도 병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방산·로봇·우주 산업과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에 사용될 초고강도·초고탄성 탄소섬유 개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 구축을 통한 국내 탄소섬유 산업 생태계 개선, 다양한 실증사업, 테스트베드 구축, 탄소산업 전문인력 양성 지원 등도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