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고용률이 소폭 상승했지만 오히려 고용의 질이 떨어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평화당 전북도당은 29일 “전북의 경우 취업자 수가 전년대비 1.1%가 증가돼 1만6000명이 증가됐다는 통계청 통계가 나왔다”며 “그러나 최저임금 여파로 36시간미만 취업자와 파트타임이 많은 여성 실업자 수가 증가됐음이 확인되는 등 오히려 고용의 질이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고용률 증가는 건설업이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새만금개발사업과 전주의 만성, 효천지구의 개발 등으로 근로자 고용이 증가가 된 원인으로 파악된다”며 “반면 서민경제와 밀접한 도소매.숙박.음식업, 그리고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은 감소됐다”고 덧붙였다.
또 “비경제활동 인구도 방학을 맞아 학생들의 아르바이트 증가로 9.7%의 상승을 보인 점을 확인하면 전북의 고용률 증가는 빛 좋은 개살구”라며 “단적인 예로 36시간 미만인 취업자의 수는 2만3000명이 늘었지만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1만 명이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전북도당은 고용 질 하락 책임을 민주당과 송하진 전북도지사에게 물었다.
전북도당은 “민주당과 송하진 지사는 무너진 전북 경제회생방안과 고용율 증대책 마련하라”며 “군산의 경우 전국 시단위에서 고용율 부문 꼴찌에서 2번째를 기록하는 등 경제 자체가 붕되된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