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내년 4·13 총선을 앞두고 현역 의원들에 대한 최종 평가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북을 비롯한 당내 현역 의원들 사이에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선출직 공직자 평가에서 하위 20%로 평가받는 현역 의원은 20%의 감점을 받는 상황에서 내년 총선 경선을 치러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현역 의원이 20% 감점을 받고 경선에 나설 경우, 신인 가산점을 받는 정치 신인에게 밀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민주당 중앙당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는 지난 2일 당내 의원들에게 ‘20대 국회 의원 최종 평가 시행에 관한 안내의 건’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발송하고 관련 시행세칙을 공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원들이 평가 방식과 일정을 숙지하도록 한 조치다. 이달 내 보좌진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한 뒤 개정된 평가 항목 등에 대한 안내도 할 예정이다.
평가는 11월 초부터 시작된다. 평가위는 우선 11월 5∼14일 의원들에 대한 다면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다면평가는 의원들이 동료 의원들에 대한 평가 설문지를 작성한 이후 밀봉해 제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무작위로 선정된 복수의 동료 의원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후 12월 초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한 안심번호 여론조사를 한 뒤 평가내용을 취합해 같은 달 23일까지 최종 평가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상황이 이런 만큼 현역 의원들 사이에서는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평가 하위 20%에 대한 감산폭이 크고, 지역 여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경선에서 전체 10만표 가운데 현역 의원 A씨가 5만4000표(54%), B씨가 4만6000표(46%)를 받았다고 가정할때 만약 A씨가 선출직공직자 평가에서 하위 20%에 포함된 후보라면 B씨와의 선거결과가 뒤집힐 수 있다. 감점 20%를 받아 최종 득표결과가 4만3200표가 되기 때문이다. B씨가 정치신인으로서 가점까지 받는다면 A씨는 더 불리하다.
전북 현역 의원들도 직접적으로 드러내진 않지만 긴장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조국 정국’에서 ‘튀는 발언’을 자제하고 새만금 신항만 등 주요 예산 확보, 탄소법 통과 등 현안 해결에 주력하는 경향이 감지된다. 당 지도부의 입장에 반기를 들면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로 분석된다.
민주당 중앙당 관계자는 “공천룰을 미리 확정해 당내 혼란은 최소화되고 지도부에 힘이 결집된 상태”며“이런 상황에서 하위 20%를 받으면 사실상의 ‘컷오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