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16일 오후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조국 장관 파면을 촉구하며 삭발을 단행했다.
이는 추석 이후 투쟁 수위를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조 장관 임명을 막지 못했다는 일각의 ‘지도부 책임론’을 불식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황 대표는 앞서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조국의 부당한 검찰 인사 개입 겁박과 공보준칙 강화를 빙자한 검찰 수사 보도 금지 추진은 명백한 수사외압이며 수사 방해”라며 “대통령이 조국 수사 방해를 계속한다면 정치적 책임은 물론 법적 책임까지 함께 짊어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일부 야당들은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조국 법무부 장관의 파면을 촉구하며 삭발한 데 대해 민생을 저버리고 정쟁에만 골몰한 처사라고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민주당 이재정 대변인은 논평에서 “지금은 장외투쟁과 단식, 삭발로 분열과 혼란을 일으킬 것이 아니라 민생과 경제를 챙겨야 할 시점”이라며 “민생을 챙기라는 국민의 쓴소리에 눈과 귀를 닫는 정쟁을 반길 국민은 없다”고 말했다.
정의당 김동균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머털도사도 아니고 제1야당 대표가 머리털로 어떤 재주를 부리려는 건지 알 길이 없다”며 “이왕 머리를 깎은 김에 입대 선언이라도 해서 이미지 탈색을 시도해봄이 어떨까”라고 지적했다.
민주평화당 박주현 수석 대변인도 논평에서 “삭발 투쟁은 조국 청문회를 맹탕 청문회로 이끈 정치적 무능력을 면피하기 위한 정치쇼에 불과하다”며 “국회의 역할, 제1야당의 역할이 무엇인지 황 대표는 성찰하기 바란다”고 비판했다.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대안정치) 김정현 대변인 역시 논평에서 “철 지난 구시대적 패션이고 국민 호응도 없을 것”이라며 “느닷없는 삭발로 정치를 희화화하지 말라”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은 별도 논평을 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