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 방역 대책 안간힘

26일 낮 12시부터 타지역 돼지·정액·사료 등 반입 금지 결정
돼지사료 환적장 설치도 검토 중, 도 지정 차량만 이용해 사료 보급
전북도, 예비비 총 58억원 긴급 편성해 일선 시·군에 배분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전국적으로 확산 기미를 보이고 있는 25일 전염병의 도내 확산을 막기 위해 완주IC에서 돼지 사료를 방역 검문하고 있다. 조현욱 기자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확진 판정이 잇따르면서 전북도 방역 당국의 긴장감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25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국 가축 일시 이동 중지 명령이 끝나는 오는 26일 정오부터 타지역의 돼지는 물론 정액과 사료 등을 모두 반입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ASF가 경기도와 인천을 넘어 타 시·도로 확산할 경우, 도 경계인 군산과 익산에 통제 초소를 갖춘 거점 소독시설을 추가 설치할 방침이다.

또한 도 가축방역심의회는 이날 서면 심의로 돼지 사료 환적장 설치를 검토 중이다. 전국 돼지 농가를 다니는 사료 유통차량이 ASF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돼지 사료 환적장이 설치되면 농가들은 전북도가 지정한 차량만 이용해 사료를 보급할 수 있게 된다.

도는 예비비 총 58억 원을 긴급 편성해 일선 시·군에 배분했다. 1차 예비비 19억 7500만 원은 소독 초소 운영과 검사비 등으로 투입됐다. 각 농가들은 소독약품과 멧돼지 기피제, 면역 증강제 등을 지원받았다.

한편 전북도가 지난 21일부터 전날까지 도내 방역 취약 돼지농장 154가구에서 표본을 채취해 정밀검사를 벌인 결과 이는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전북도 관계자는 “오늘도 인천 강화에서 ASF 의심 신고가 들어와 위기감이 높다”며 “ASF가 도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